[미디어펜=이원우 기자]코스닥 지수가 정부의 ‘활성화 대책’ 기대감으로 연일 기록적인 상승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내재적인 동인에서 비롯되지 않고 정부 지원이라는 외생 변수에 기안한 상승세라는 점에서 우려 또한 적지 않다. 정부가 코스닥 투자를 활성화 한다는 아이디어 자체에 대해서도 비판 여론이 존재한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가 최근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날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2.27p(0.27%) 상승한 841.78을 기록 중이다. 코스닥 지수는 지난 8일 종가 기준 830선을 무려 16년 만에 돌파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 사진=연합뉴스


다음 거래일인 9일에도 코스닥은 상승세를 이어가 840선까지 넘어선 상태다. 2002년 4월 19일 858.80을 기록한 이래 약 16년 만에 주목할 만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 대장주 셀트리온의 주가는 이미 코스피 시총 3위인 현대차를 제쳤다. 비록 셀트리온은 조만간 코스닥을 떠나 코스피로 ‘이사’를 갈 예정이지만 코스닥 흥행의 군불을 지폈다는 의미에서는 ‘대장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코스닥 흥행의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손꼽힌다. 대표적으로 미국 증시의 기록적인 랠리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장중 2만 5311.99와 2748.51까지 올랐다. 나스닥 지수 역시 7161.35로 올라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일 신기록 행진이 이어지는 형세가 지속되고 있다.

뉴욕 증시의 강세는 미국 경제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에서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이다. 심지어 고용지수 등 일부 지표가 좋지 않게 나오는 상황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 경제가 자신감을 완벽하게 회복했다는 모습”이라고 지적하면서 “탄탄한 펀더멘털에 기초하고 있는 상승세라 시장의 신뢰성을 획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 증시의 상승세는 다소 색다른 요인에 기인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코스닥의 경우 정부의 ‘활성화 대책’에 영향을 받은 상승세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좀 더 높을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의 코스닥 지원은 연기금이 코스닥 투자를 늘리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주요 기관투자가 중 한 곳인 행정공제회는 작년 8% 수준에 머물렀던 주식부문 내 코스닥 직접 투자 비중을 올해 10% 수준까지 확대할 방침을 세웠다. 이미 작년 하반기 연기금 최고투자책임자(CIO)들이 모여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 이후부터 중·소형주 투자 비중을 늘리기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역시 ‘큰손’에 해당하는 사학연금 역시 작년 11월 ‘투자 가능 종목군’을 미리 지정해 그 안에서만 투자하는 내부 규정을 없앴다.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종목이라면 코스피와 코스닥을 가리지 않고 투자 가능하다. 이는 사실상 코스닥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개편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밖에 과학기술인공제회도 코스닥 투자비중 확대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은 연기금들의 코스닥 투자 확대는 시장의 활기를 불어넣을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정부가 그린 밑그림대로 상황이 굴러가지 않을 수도 있다는 데 있다. 

일례로 연기금과 다수 공제회들은 차익 거래 시 부과되는 증권거래세(세율 0.3%)를 정부가 면제해 줄 경우에 코스닥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코스피에 비해 큰 리스크가 수반되는 만큼 ‘인센티브’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우정사업본부는 현재 거래세 면제 혜택을 받고 있다.

정부 또한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 거래세 면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문제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일부 반발 여론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비판 여론의 골자는 연기금에 거래세 면제 혜택을 확대 적용하면 타 기관투자자나 개인투자자와의 ‘형평성’에 어긋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스닥의 리스크가 생각보다 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코스닥 활성화를 위해 연기금 자금을 동원하는 구상 자체에 대해서는 이해한다”면서도 “연기금의 특성상 손실을 봐선 안 된다는 리스크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행여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변동성이 큰 코스닥 투자가 부메랑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