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공형 임금체계'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역할급'
일본 기업, '역할급' 채택 기업 2000년대 이후 늘어
인공지능이 보편화될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일자리에도 변화가 닥쳐올 전망이다. 지난해 말 출범한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경우 2022년까지 128조원, 2030년까지 최대 460조원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등 약 80만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할 것으로 봤다. 따라서 기술 발전만큼 유연한 일자리를 만드는 구조적 노동 플랫폼 조성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노조 우선주의, 정규직 과보호, 근무형태의 획일화, 연공서열제 등의 노동 시스템으로는 지능화, 융-복합화로 대변되는 새로운 노동패러다임에 적응할수 없다.  이에 미디어펜은 '일자리 4.0시대'를 맞아 정부와 기업, 근로자들이 고민해야할 노동정책과 제도, 근로형태, 노사관계 등을 심층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기획시리즈를 연재한다. <편집자 주>

   
[퀀텀점프코리아 2020-3부]연공제를 벗고 능력을 입다③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연공형 임금체계’에 대한 폐해가 곳곳에서 제기되는 가운데 일본에서 시행중인 ‘역할급’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인상하는 것이 아닌, 직무와 성과중심 임금체계로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일본 기업들 역시 과거에는 연공형 임금 체계를 유지했었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으론 기업의 경쟁력을 지킬 수 없다는 위기감을 인식, 지속적인 개편을 진행해 왔다. 소니, 카시오, 캐논 등 일본의 주요 기업들이 고심 끝에 새로운 임금체계로 제안한 것이 ‘역할급’이다.

역할급은 연공이나 능력에 기초한 공급중시의 인사제도로부터 수요중시의 임금제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제품시장이나 자본시장에서 발생한 신호를 인사 및 임금의 규칙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매출액이나 이익, 주가 등으로 나타나는 조직목표에 공헌하는 정도에 따라 처우가 결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역할’은 조직목표달성에 대해 기대되는 공헌도를 말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간한 경총신서 ‘일본기업 역할급: 사례와 시사점’에 따르면 ‘역할’을 기본급의 결정기준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2000년대 들어 빠르게 증가해 왔다. 

관리직의 경우, 역할이나 직무를 활용하는 경우가 ‘직능급’을 사용하는 경우를 이미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비관리직의 경우에도 역할이나 직무가 기본급 결정의 중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김동배 인천대 경영대학 교수는 “우리가 일본의 역할급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 체계가 우리나라 기업의 임금체계 개편에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역할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일본의 캐논, 카시오, 소니, 카오, 스미토모 상사, 마루베니, 제일생명 등의 기업이 임직급 체계를 2016년 기준, ‘직능급’에서 ‘역할급’ 또는 ‘직무급’으로 변환했다고 설명했다. 

   
▲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직장인들./사진=연합뉴스

신재욱 FMASSOCIATES 대표는 우리나라에서도 “연공서열형 호봉제를 직무급, 역할급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현재 시점에서 한국은 직급 간소화로부터 ‘역할급’을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 대표에 따르면 ‘역할급’은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문화, 일하는 문화 기반 구축 △연공이 아닌 역할 중심으로 일하는 체계 마련 △과도한 승진 집착 분위기 쇄신 △승진 부담으로 인한 평가 왜곡 개선 △역할․성과와 연계한 효율적인 인건비 운영을 목적으로 한다.

신 대표는 “한국에서는 ‘직급 간소화’로부터 ‘역할급’이 시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부 국내 대기업에서는 사원, 대리, 과장 등의 직급에서 주니어, 시니어, 리더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다. 호칭도 직급에 따르는 것이 아닌 ‘님’으로 통일한다.

한편 김동배 교수는 일본의 역할급을 모방하는 것에 대해 “역사성과 상황 조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모방만 시도할 경우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과 일본의 노사관계, 기업지배구조, 평가시스템 인프라 등의 차이 때문이다. 

경총 역시 ‘역할급’에 대한 책자를 발간하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일본 기업들로부터 정말 배워야할 점은 구체적인 제도 설계의 내용이 아니라 임금체계 변화를 위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소통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