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개 드론관련 국내 연구기관·학교·중기 참여
[미디어펜=나광호 기자]화재나 해양사고 등 자연·사회재난 및 치안현장에서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드론이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소방청·경찰청·해양경찰청과 오는 30일 '2018년도 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 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산업부는 2020년까지 490억원을 투입, 재난 및 치안현장에서 현장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초동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드론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전국 소방·경찰·해경의 서 단위까지 드론 보급을 통해 2021년부터 2800여대의 공공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사업에는 총 29개 드론분야 국내 △전문기업 △학교 △연구기관이 참여, 드론 임무장비·시스템통합 소프트웨어·원격 관리체계 등 현장대응을 위한 종합체계를 개발한다.

   
▲ 실내 탐색 드론 플랫폼/사진=산업통상자원부


드론은 우선 터널과 대형물류창고 등 암전상황 및 붕괴위험으로 소방대원의 인명손실까지 예상되는 실내에 투입, 건물 내 곳곳을 촬영한 영상을 지상통제장비 및 상황실로 실시한 전송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또한 화재나 사건사고 등 사고발생 신고 접수 직후 사고현장에 드론을 출동시켜 현장 상황 영상과 소방차량이 사고현장으로 가는 경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출동대원 및 상황실로 전송하게 된다. 필요시 소방장비 투하 등의 특수임무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해양탐색 및 구조의 경우 탐조등과 스피커를 장착한 드론을 활용해 구명환 투하·유류유출 해역 촬영·선박의 허가 번호판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산업부는 이 사업이 상업용 드론 세계 시장에 진출할 국산 드론을 개발하고, 재난 및 치안 분야 뿐 아니라 산림·국방·안보 분야 등을 파생돼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종합체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부와 과기정통부는 조달청과 협력해 개발한 드론이 공공수요로 연계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국산 기술 및 핵심제품을 토대로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 해양 탐색·구조 드론 플랫폼/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한편 현재 재난 및 사건 발생시 소방관 또는 경찰관이 출동해 현장에서 직접 관측·대응하고 있으며, 전체 재난대응 시간의 절반 이상을 현장진압과 인명구조에 필요한 상황정보에 소요되고 있다.

특히 대형·고층건물이 많은 도심지나 산·바다 등 광범위한 현자에서는 체계적인 대응에 어려움이 있으며, 지역별로도 재난 및 치안대응에 소요되는 시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골든타임(5분) 이내 현장도착률을 보면 서울 등 7개 광역시는 75.5%인 반면, 경기 등 9개 광역단체는 48%에 머물렀다.

평균도착시간 역시 서울 등 7개 광역시는 4분19초인 반면, 경기 등 9개 광역단체는 7분20초나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재난의 경우 육상과 달리 해류 및 조류의 영향으로 조난선박 등이 부유해 이동,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정보수집이 필요한 상황에서 중대형급(1000~5000톤) 및 중형급(250~500톤) 등 해경이 현재 보유한 함정규모로는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