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코 기업공개 및 지분 5% 매각 추진…최대 1500억달러 수익
국부펀드 조성에 턱없이 부족…유가 상승 통한 자금 마련 필요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전통 산유국과 원유 감산을 추진하는 것은 탈석유 정책을 추진하기 위함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최근 미국 뉴욕에서 이들 산유국들이 유가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진행중인 감산 협력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경기 회복 및 계절적 요인으로 석유 수요가 증가해 국제유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원유 생산 증가 등으로 가격 상승이 쉽지 않자 이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우디가 감산을 통한 국제유가 상승을 모색하는 것은 재무건전성 회복도 있지만 경제개혁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위해 조성할 2조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를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사우디가 탈석유를 골자로 한 '비전 2030' 추진을 위해 2조달러 규모 국부펀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사우디는 2016년 △석유화학 △신재생에너지 △방산 △자동차 △조선 등 신성장동력 육성을 골자로 한 '비전2030'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배럴당 140달러 선까지 치솟았던 국제유가가 미 셰일오일·가스 본격 시추로 하락하는 가운데 석유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이를 낮추기 위한 차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국부펀드 조성을 위해 세계 최대 석유업체이자 국영기업인 아람코 기업공개를 통해 지분 5%를 매각, 자금을 마련하고자 하지만 상장이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경제개혁을 주도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아람코 해외 상장을 처음 언급한 2016년에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30달러 즈음이었으나, 최근 65달러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사우디 측이 상장의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것이 첫 번째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해외거래소들이 주주보호를 위해 상장 요건을 강화하고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금융당국을 활용, 강도 높은 감시 및 법정 소송 등으로 압박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상장 연기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바라카 원전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사우디 왕자인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가 올 하반기에 기업공개를 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회사의 가치 평가 등으로 시기가 연기되거나 사우디에만 상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장을 한다고 해도 5%의 지분 매각으로는 1000억달러의 자금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아람코에 책정된 소득세를 85%에서 50%로 대폭 인하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음에도 아람코의 가치는 1조5000억달러를 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경우 상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자금은 1500억달러 수준에 불과해 결국 유가가 상승하지 않으면 국부펀드를 조성하기 어렵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사우디는 석유 의존도를 낮추지 못하면 셰일업계가 기술개발 등에 성공해 유가하락을 주도할 경우 재무건정성 악화가 예상된다"며 "비전 2030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유가가 하락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무함마드 왕자가 유가하락 방지를 위해 감산을 연장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셰일업계가 전통 산유국에 감산에 대응해 생산을 늘리면 국제유가가 가시적으로 변동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