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3D프린팅 기술로 정비부품 제작·실장하는 시범사업 추진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산업통상자원부가 3D프린팅을 활용해 발전소 정비부품을 제작하는 시범사업에 착수하기로 하고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9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 사업은 발전소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부품을 3D프린팅 기술로 제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발전소에서 실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조혁신을 리딩하는 3D프린팅 기술은 정밀도·속도·소재 등의 개선에 힘입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의식주 △의료 △항공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너럴일렉트릭(GE)과 지멘스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은 가스터빈 및 경수로 핵심부품까지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제작하고 발전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제작기간 50% 단축 및 터빈효율 64% 향상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내 발전사는 연구개발(R&D) 부서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을 적용, 손상·마모 부품 관련 보수 가능성 확인 및 밸브를 비롯한 일부 소형부품 시제작 시도 정도에 그치는 등 대조를 이루고 있다.

   
▲ 3D프린팅 활용 발전소 정비부품 제작 시범사업 추진체계안/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는 이에 대해 발전소 현장에서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해 부족·낮은 신뢰성·고장 우려 등을 제기한 결과로, 현재까지 3D프린터로 만든 어떤 부품도 발전소에 실제로 사용된 사례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전국 발전소를 직접 방문해 3D프린팅 기술을 설명하고 근무인력들을 이해시키는 한편, 예방정비 기간 동안 해체된 발전소에 직접 들어가 부품들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해법을 모색했다고 부연했다.

우선 신뢰성 문제는 한전 전력연구원이 도맡는다. 3D프린터로 제조한 부품에 대한 평가 및 신뢰성 검증 프로세스를 마련, 발전사의 실장 부담을 최대한 완화시킬 계획이다.

고장 우려는 3D프린팅 기술 적용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 원가절감 및 효율향상을 강조해 해결할 방침이다. 안전과 무관하며 불량이 나더라도 발전소 가동에 지장이 없는 듀얼성 부품 등을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올해 말까지 3D프린터로 비교적 제작이 쉽고 실장 부담이 적은 2종을 발굴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추가 기술개발이 필요한 5종에 대해서는 오는 2020년까지 개발·제작해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신기술의 적용을 가로막는 현장의 애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면서 기존 제조방식보다 우월한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3D프린팅 업체들이 조기에 발전정비 틈새시장에 진입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