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동력 확보, 이재용·정의선·구본준 부회장 역할론 부각
오너가 경영 시너지 주목…당면 과제 해결 정부 지원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우리 경제를 이끌고 있는 삼성·현대자동차·LG그룹 오너가 부회장들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다. 세 그룹을 글로벌 시장에 안착시킨 현 회장들이 와병과 고령 등으로 경영 전면에 나서기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이재용(50)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48) 현대차 부회장, 구본준(67) LG 부회장의 리더십이 기업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현재 삼성·현대차·LG는 오너가 부회장들이 그룹의 실무 경영 전반을 책임지면서 미래 전략을 수립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삼성·현대차·LG 모두 80~90년대부터 회사를 이끈 현 회장들의 경영 능력과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건희(76) 삼성전자 회장과 구몬부(73) LG회장은 와병 중이고, 고령의 정몽구(80) 현대차 회장은 점차 경영 보폭을 줄이는 모습이다.

재계에서는 세 그룹의 ‘포스트 회장’ 시대가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경영 시계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후발 주자들이 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는 이유다.

‘오너 책임경영’의 시너지를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해외 시장과 주요 거래선들이 국내 그룹의 생리를 잘 알고 있는 만큼 미래 전략 수립 등에서 오너 경영진의 영향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일부에서 전문경영인이 오너 일가를 당장 대체 할 수 있다는 소리가 나오지만,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며 “당장 협상력에서 오너와 전문경인의 차이가 크다. 외국의 핵심 파트너사들도 오너와의 만남을 더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정의현 현대차 부회장 /사진=현대차 제공

삼성·현대차·LG 현실은 녹록지 않다. 지배구조 개편과 신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걸림돌이 산재해 있다. 정부와 사회 전반에 퍼진 ‘반기업’ 정서도 이들의 어깨를 무겁게 하고 있다.

삼성은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이 부회장이 실질적인 그룹의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실용주의’을 앞세운 이 부회장은 공격적인 선제투자와 과감한 인수합병(M&A) 등을 추진하며 그룹의 맏형인 삼성전자의 체질을 빠르게 바꿔갔다.

이 부회장은 2016년 말 불거진 ‘최순실 게이트’에 직격탄을 맞아 지난해를 허비한 뒤 올해 2월 경영 일선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의 행동반경이 제한되면서 삼성 안팎의 아쉬움이 나오고 있다. 최근 이 부회장은 해외 거점에서 삼성전자의 신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삼성과 관련한 과거 결정을 잇달아 부정하는 등 압박 강도를 높이면서 국내 활동은 부담이 큰 상황이다.

현대차의 판매량 회복과 미래전략에 고심하고 있는 정 부회장도 사정이 녹록지 않다. 현대차가 현대모비스과 현대글로비스 분할·합병으로 순환출자 고리를 끊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지만 미국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과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참여연대는 현대차의 출자구조 개편이 ‘세습을 위한 것’이라는 공격까지 하고 있다.

정 부회장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며 흔들림 없이 경영전략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 구본준 LG 부회장(가운데)이 '글로벌 CEO 전략회의'에서 계열사 경영진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LG 제공

LG는 4세 경영을 서두르고 있다. 다음달 29일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하고 구광모(40) LG전자 상무를 ㈜LG 사내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LG가 구 상무를 그룹 경영 전면에 배치하는 것은 구본무 회장이 와병으로 역할 수행에 제약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장자 경영승계 원칙을 지켜온 LG그룹의 특성을 감안할 때 구본준 부회장의 역할이 당초 업계가 예상한 시기보다 짧게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구 부회장은 구 상무가 그룹 의사 결정에 정점에 오르는 시점에 맞춰 계열 분리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재계에서는 삼성·현대차·LG가 변곡점에 서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측면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 경제의 핵심 자산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재벌개혁을 강조하면서 규제 강도만 높이는 것 같다”며 “경영권 방어와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 기업의 목소리가 반영된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