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권력 재편 방향 주목…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시험대
   
▲ 6.13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31일 막이 오른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후보들은 내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13일간의 치열한 선거전을 펼친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정광성 기자]6.13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31일 막이 오른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후보들은 내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13일간의 치열한 선거전을 펼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전국적으로 광역단체장 17명과 교육감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927명, 교육의원(제주) 5명 등 모두 4016명의 지역 일꾼이 선출된다.

여기에 국회의원 재보선도 '미니 총선' 수준으로 전국 12곳에서 열린다.

지난 24~25일 이틀간 진행된 후보등록 결과 지방선거 출마자는 9317명으로, 평균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7명을 선출하는 광역단체장 선거에는 71명이 후보등록을 마쳤다.

또한 12곳의 국회의원 재보선에는 46명이 후보로 등록, 3.8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5월 출범한 후 처음 진행되는 전국 단위 선거다. 문재인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운영 성과를 국민에게 평가받는 첫 심판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후보 간 경쟁 못지않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난해 대선에서 정권을 내준 제1야당 자유한국당, 대안 정당을 앞세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도 치열하게 격돌할 전망이다.

공식 선거전은 여당인 민주당의 우위 판세 속에 개막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민주당이 주요 격전지 등을 승리로 이끌며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특히 지방선거 전체의 승패를 좌우할 서울 등 수도권,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PK(부산·경남)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야당 후보들을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부산의 경우 중앙일보가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에 의뢰해 20~21일 부산 거주 성인 803명을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포인트) 민주당의 오거돈 후보가 47.6%로 자유한국당 서병수 후보(24.2%)를 앞섰다.

또, KBS 의뢰를 받은 한국리서치의 경남지역 조사(25~26일, 경남 거주 성인 800명 상대,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p)에선 민주당 김경수 후보의 지지도가 50.6%로 한국당 김태호 후보(25.2%)보다 25.4%포인트(p) 높았다.

두 후보의 격차는 3주 전 조사(김경수 후보 46.2%, 김태호 후보 27.8%) 때보다 7%p 더 벌어졌다.

그동안 PK는 한국당의 전통 텃밭으로 불린 곳으로, 한국당이 수성에 성공할지, 민주당이 한국당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영남권 교두보를 확보할지 주목된다. 그만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지난 1995년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시작된 이후 PK에서 민주당의 맥을 이어온 정당 후보가 당선된 적은 한차례도 없다.

수도권 선거의 가상대결에서도 민주당이 우세했다.

서울의 경우 머니투데이 더리더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26~27일 802명을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p), 3선에 도전하는 민주당 박원순 후보의 지지율이 46.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20.6%),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12.9%) 순이었다.

경기지역도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27일 경기도에 사는 성인 1천1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지지도가 52.6%로 1위였다. 자유한국당 남경필 후보와 바른미래당 김영환 후보의 지지도는 각각 18.8%, 2.6%였다.

제주지사 가상대결에선 민주당 후보가 1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JTBC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27~28일 제주 거주 성인 806명에게 지지후보를 물은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p) 무소속 원희룡 후보가 40.7%, 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34.5%의 지지율을 얻었다.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6.2%p로 오차 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였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