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혁신금융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던 P2P(개인간) 금융업계가 내홍과 당국규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한국P2P금융협회장의 잇따른 낙마에 이어 75개 업체에 대한 금감원 조사 결과 업체들의 투자금 관리와 보안 등이 취약한 것으로 지적됐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 금융감독원이 P2P금융사들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내용은 좋지 않았다. 금감원이 75개 업체들을 조사한 결과 부동산 쏠림 현상에 대해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국은 이 부분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 업체들의 투자금 관리, 대출 심사, 보안 등에 대해서도 취약성을 지적했다.

   
▲ 사진=연합뉴스


당국의 지적 전에도 P2P금융 업계의 최근 분위기는 좋지 않았다. P2P금융업체들의 연합체인 한국P2P금융협회의 이승행 협회장은 학력위조로 불명예 퇴진했다. 펀듀와 2시펀딩, 헤라펀딩 등의 업체들은 부도 처리됐으며 대표가 잠적을 하는 사례마저 나왔다. 금융혁신의 총아라는 닉네임에 걸맞지 않게 소비자 신뢰를 뿌리부터 뒤흔드는 사건이 연달아 일어난 것이다.

제2대 P2P금융협회장에 오른 신현욱 팝펀딩 대표마저 세달 만에 사임했고 P2P금융협회에서도 탈퇴했다. 렌딧과 8퍼센트는 팝펀딩과 함께 지난달 29일 ‘자율규제’ 내용을 강화한 새로운 협회를 창립하기 위한 토대 구축에 돌입했다. 협회 분리 부분이 시작된 것이다.

P2P금융업체들의 사분오열은 세부 업권 간의 상이점에서 비롯됐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부동산 중심 업체들과 비(非)부동산 업체 간의 이해관계 차이가 크다는 지적이 많다. 

P2P금융에서 부동산 대출과 개인신용 대출은 차주의 성격부터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업계 간의 관점이 크게 달라진다. 금융투자협회 내부에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의 입장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다.

현재 P2P금융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 P2P금융이다. 양적으로 압도적인 비중이지만 금감원 조사 결과 문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 과정에서 비부동산 업체들의 불만이 점증되다 외부로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P2P 대출 상품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았다는 피해자 보고 사례가 늘어나면서 업계는 ‘수질관리’에 부쩍 힘쓰는 모습이다. 돈이 필요한 사람과 빌려주려는 사람을 온라인에서 직접 연결하는 P2P 대출의 특성상 소비자 신뢰 구축은 다른 어떤 업계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협회 분리 과정에서 ‘자율규제’ 얘기가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P2P금융 자율규제가 강화된 새로운 협회를 위한 준비위원회(가칭 준비위원회)에서 위원장을 맡게 된 김성준 렌딧 대표는 “업권의 주요 회사들이 뜻을 모은 만큼 업계 전반에 자율규제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동참하도록 이끌어 나가겠다”면서 “P2P금융이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과 중소상공인에게 자금 활로를 제공하는 한 축으로 성장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