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청년실업률 11.2%…전년비 0.3%포인트 증가
중기 10개 중 7개 인력난 호소…필요인력 25만명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청년실업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악화된 가운데 청년층의 인식이 변하지 않으면 문제해결은 요원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청년실업자는 전년 대비 2만1000명 늘어난 50만5000명·청년실업률은 같은 기간 0.3%포인트 증가한 11.2%로 집계됐다.

업계는 현재 중소기업에 필요한 인력이 25만여명 수준으로 지난달 청년층 실업자의 절반에 육박하며, 신규 입사자의 38%가 1~2년 내에 퇴사해 만성적인 인력난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복지 및 후생 수준 △근무환경 △조직문화 등으로 국내 고용의 8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데 기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 취업경쟁률 추이/자료=한국경영자총협회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해 전국 312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서 발표한 '2017 신입사원 채용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사원의 취업경쟁률은 평균 35.7대 1으로 집계됐다.

이 중 300인 이상 업체의 경쟁률은 38.5대 1로 300인 미만 대비 6.64배에 달해, 6.49배를 기록했던 2015년보다 격차가 커지는 등 대기업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반면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지난해 7월 21일부터 25일까지 300인 미만 업체 602개사 채용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고용실태 조사에서 '적시에 인력을 충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69.1%에 달해 대조를 이뤘다.

분야별로는 37.0%가 생산·현장직의 인력 부족을 호소했으며, 국내영업(17.3%)·판매 및 서비스(15.6%)·연구개발(13.0%)·IT(11.8%)가 뒤를 이었다.

   
▲ 지난해 5월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된 '신세계그룹&파트너사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참여 기업 부스에서 상담받고 있다./사진=미디어펜


업계는 이를 근거로 '3D 업종' 등에 대한 기피가 이어지는 한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중기 취업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해도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대학 구조조정 및 학과 개편 등을 통해 사회과학·사범·인문·자연과학을 비롯한 분야에서 '청년백수'가 양산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인력이 부족한 기업의 근로자가 퇴사할 경우 다른 근로자의 업무강도가 증가, 또 다른 퇴사로 이어지는 등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채용과정에서는 회사와 함께 발전하겠다는 등의 다짐을 밝히지만, 취업에 성공하고 나면 마음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