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원전 예비사업자 선정…미·중·러·프와 경쟁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 안전성·경제성 문제 '자폭'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1400MW급 2기 규모의 사우디 신규원전 건설 예비사업자 선정을 최종 수주로 이어가기 위해 '총력전'을 예고한 가운데 원전 조기 폐쇄 등 탈원전 기조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3일 한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사업에 미국·중국·러시아·프랑스 등 원전 강대국들과 함께 예비사업자로 선정된 만큼 민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등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지난 2일 서울 한전 아트센터에서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원전 관련 공기업 사장단·기자재 업체·시공사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합동 사우디원전지원센터 개소식을 진행했다.

업계는 △사우디와 환경이 유사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건설 경험 △프로젝트 관리 능력 △경제적 건설비 등 국내 원전 산업계가 보유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탈원전 정책을 감안할 때 경쟁국들을 제치고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지난달 4일 본관 접견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이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이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자국업체인 웨스팅하우스에 대한 지원에 나서고 사우디 측에 우라늄 농축 허용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러시아도 우라늄 농축·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제공 등 핵무장을 원하는 사우디의 구미를 당길 수 있는 옵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우디는 이란의 핵무장 의사 표명 및 예멘 반군 등의 위협에 대응, 핵무기 개발을 통한 핵무장을 검토하고 있다.

프랑스는 다수의 해외 원전 건설 경험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해상 원전 20기 건설 등 '원전 굴기'를 선언한 중국 역시 금융지원을 비롯한 공격적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 국가가 신규원전 건설·원전 비중 축소 유예 등 사실상 탈원전 기조를 철폐하고 있는 가운데 유일하게 탈원전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월성 1호기 전경/사진=한국수력원자력


특히 최근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가 2022년까지 계속운전 승인을 받은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한 것과 신고리 1호기·고리 3호기 등 정기보수를 끝낸 원전의 오류 발생 및 1년 이상 소요된 정기검사 등은 안전성을 강점으로 내세우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을 하면서 '경제성이 불확실하다'고 말한 것은 정비를 위해 원전 가동률을 낮춘 것과 모순되는 주장이지만 경쟁업체들에게는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백운규 장관이 지난 4월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총력전이 필요하다'고 말했지만 정작 국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췄어도 우리 스스로 믿지 못하면 남도 믿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0년대 초반 유가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경험한 사우디는 지난 2016년부터 제1왕위 계승자 주도로 석유 의존도를 현재 90%에서 50% 수준으로 낮추는 경제·사회개혁 프로젝트(비전 2030)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원전사업을 비롯해 석유화학·방산·자동차·조선·재생에너지 등 신성장동력 발굴 및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원전의 경우 오는 2030년까지 2.8GW 규모 발전소 2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