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공공기관의 약 90%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전부터 탄력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기관은 300인 이상 기업과 같이 이달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대상에 포함된다.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알리오'는 작년 정부 부처 산하 공공기관과 그 부속기관 361곳 중 88.9%인 321곳이 탄력근무제를 시행했다고 4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주 5일·하루 8시간 근무를 하되 출근 시간을 자율 조정하는 '시차출퇴근형'이 가장 많았다. 이를 시행 중인 공공기관은 313곳(86.7%)이었다.

주 5일 근무, 하루 8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근무 시간을 자율 조정하는 근무시간선택형은 156곳(43.2%)이 도입했다. 하루 10시간 근무 등으로 주 5일 미만 근무를 하면서 주 40시간을 유지하는 '집약근무형'은 54곳(15.0%)에서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의무 없이 프로젝트 수행으로 주 40시간을 인정하는 '재량근무형'은 8곳에서만 도입됐다.

공공기관 중 4가지 유형을 모두 시행하는 곳은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IOM이민정책연구원 두 곳이었고 일부 공공기관은 2~3개 유형의 근무를 병행하고 있었다. 반면 공공기관과 부속기관 40곳은 4가지 유형 중 어떤 형태의 탄력근무제도 채택하지 않았다.

작년 탄력근무제를 시행한 공공기관과 그 부속기관 수는 4년 전과 비교하면 101곳(45.9%) 늘었다. 2013년 공공기관 및 그 부속기관 중 탄력근무제를 시행한 기관은 220곳(60.9%) 수준이었다.

탄력근무제는 업무가 몰릴 때 더 많이 일하고 대신 다른 때 노동시간을 줄여 평균 근로시간을 주 40시간으로 맞추는 근무 형태를 의미한다. 주 52시간 근무제의 보완책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현재 노사가 합의하면 3개월까지 적용 기간을 늘릴 수 있게 돼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