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싫어하던 ‘천황’ 극존칭 사용, 과거사 종결 상징 차원

   
▲ 김규태 미디어펜 연구원
고 김대중 전대통령이 재임 당시 방일을 앞두고, 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일본에 더 이상 묻지 않는다는 결정을 이끌어낸 사실이 확인됐다. 김 전대통령은 당시 ‘일왕’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천황’이란 표현을 국가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천황’은 일본의 한국 지배 상징성을 지닌 존재이다. 이를 당시 언론에서는 양국 사이의 과거사 종결을 선언하는 것이라며 높이 평가했다.

1998년 10월 8일 한일 공동선언문에 나타난 일본 측의 사죄-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해 한마디 언급조차 하지 않은-에 대해 당시의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는 큰 실망감을 드러냈다. 김 전대통령의 일본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점인데 앞으로 커다란 파문이 예상된다.

지난 6월 11일 KBS는 저녁 9시 뉴스보도를 통해 문창극 총리후보자가 온누리교회 여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일제시대 우리민족의 고난을 우리 민족으로 하여금 깨어나길 바라는 하나님의  섭리라고 강조한 것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김대중 전대통령의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일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도 국민들 사이에서 심각한 의문이 제기될 전망이다.

   
▲ 매일경제 기사(1998. 10. 7) 

매일경제신문은 1998년 10월 7일 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김 대통령은 방일 전에 이미 큰 선물을 일본 측에 주었다.”, “한국 사람이 입에도 올리기 싫어하던 ‘천황’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결단을 내렸다.”, “일반적으로 일본 측과 만나서는 ‘천황’이란 표현을 쓰고 한국 안에서는 ‘일왕’으로 써왔던 이중 잣대를 없애버린 것이다.”, “일본의 한국 지배 상징성을 지닌 ‘천황’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양국 사이의 과거사 종결을 선언하는 것과도 같다.”

이어 매일경제신문은, 김 전 대통령이 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일본 정부에 더 이상 묻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김 대통령은 이미 취임한 지 얼마되지 않아 종군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일본 정부에 더 이상 묻지 않는다는 결정도 이끌어냈다.” 이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 특히 위안부관련단체의 입장에 대해서는 동아일보가 공동선언문 발표 하루 뒤 기사를 통해 밝히고 있다.

   
▲ 동아일보 기사 발췌(1998. 10. 9) 

“일부 시민단체는 역사교과서 왜곡, 군위안부배상 회피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21세기 미래지향적 한일 협력관계를 기대할 수 있을텐데 사과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기존 일본정부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매우 실망스럽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마디 언급조차 하지 않은 점에서 매우 유감이다. 공동선언문에 담긴 ‘통절한 사과’가 공허한 말잔치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일본정부가 하루빨리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법적 배상을 이행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김대중 대통령이 국내에서 ‘일왕’으로 쓰던 호칭을 모두 ‘천황’으로 바꿔 쓰도록 결정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취임한 지 얼마되지 않아 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일본 정부에 더 이상 묻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는 점이다. 김 전대통령의 위안부 문제의식을 비롯한 일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관하여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미디어펜=김규태 연구원]

===============================================================================

* 위 글은 김규태 연구원이 6월 11일 KBS가 저녁 9시뉴스에서  ‘문창극 후보자’와 관련해 보도한 헤드라인뉴스와 동일한 스타일로 패러디한 것입니다. 위에 언급된 내용은 일부 사실과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 독자들은 패러디칼럼의 특성을 양해하기 바랍니다. KBS는 11일 저녁뉴스에서 "문창극 총리후보가 교회강연에서 일제 식민지배와 이어진 남북분단이 하나님의 뜻이란 취지의 발언을 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라며 친일분자인 것처럼 낙인찍은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