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미디어 콘텐츠와 카카오 모바일간 단순조합은 성공못해, 정체성 상실은 곤란

   
▲ 이태희 전 방통위대변인
이태희의 변화의 지향(1)-다음카카오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다음(Daum)을 좋아한다. 그들의 자유분방함을 좋아한다. 비록 네이버에 밀려 검색시장에서 2인자에 머물러 있지만, 다음이 인터넷 산업의 발전을 위해 흘린 땀과 눈물, 그리고 그들의 공헌은 적지 않다. 그런데 다음이 20년 만에 회사의 운명을 건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카카오와의 합병이다.
 

퀴즈를 하나 내 보자. 다음은 미디어인가 아닌가? 다음은 항상 스스로의 정체성을 ‘미디어’에 두고, 이를 자랑스럽게 여겨왔다. 초창기 다음은 스스로 언론사가 되겠다며 직접 다음 소속 기자들을 뽑아 ‘다음 only’라는 섹션을 운영한 이력도 있다. 물론 오래가진 못했다. 그렇지만 다음카페, 블로그, 블로거뉴스, 아고라로 이어지는 그들의 서비스 모델들은 다음의 미디어로서의 지향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지금도 다음의 홈페이지 <회사소개>를 보면 제일 앞머리에 ‘다음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현명한 사용을 통해 더 나은 세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며 ‘미디어’를 ‘커뮤니케이션’ 보다 앞에 놓는다. 잠깐 이해를 돕기 위해 언급하자면, 네이버와 다음은 같은 포털이지만 다른 철학적 뿌리를 지니고 있다. 다음은 ‘미디어’를 지향하지만, 네이버는 검색 등을 통한 정보 유통의 ‘플랫폼’이라고 스스로를 정의한다. 이러한 다양성은 매체철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인터넷과 포털은 우리에게 새로운 차원의 지식과 사고의 혁신을 선물했다. 이는 두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우선 전통미디어로 제한됐던 ‘공론의 영역’을 모든 사람에게 돌려 주었다. 말하자면 ‘공론장’의 부활이다. 또 하나는 검색을 통한 지식의 해방이다. 검색은 통제와 독점의 대상이던 지식을 획기적으로 개방시켰고, 뿔뿔히 흩어져 있던 지식과 사람을 연결시켰다. 네이버가 후자, 즉 ‘지식’과 ‘검색’으로 인터넷의 가치를 구현했다면, 다음은 ‘토론’과 ‘공론장’, 그리고 ‘민주주의’적 가치를 우리에게 선물했다고 할 수 있다. 두 다른 뿌리의 포털들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 인터넷 문화의 개척자들인 것이다.
 

많은 언론들이 다음과 카카오의 미래를 전망하며, 주로 카카오의 미래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두는 것 같다. 아마도 시장의 중심이 유선인터넷에서 무선인터넷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유선에서의 네이버의 벽이 너무 높기 때문에 메신저서비스를 넘어 플랫폼화 하려는 카카오의 미래가 더 흥미를 끌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필자의 관심은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으로 야기될 ‘미디어 다음’의 미래이다. 언론 기사들을 살펴보면 카카오다음에 기대를 하는 이유 중 하나가 김범수 카카오의장의 시장에 대한 통찰력인 것 같다. 서울대 공대 출신인 김 의장은 한게임 창업주로 네이버와의 합병을 통해 지금의 네이버를 키웠고, 다시 네이버를 나와 ‘카카오톡 신화’를 만들었다. 카카오는 ‘커뮤니케이션’을 전면에 내세운 서비스인데 ‘게임’으로 성공했다. 네이버의 성공 지침서와 유사하다. 

   
▲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이 성공하기위해선 다음의 광고 노하우와 콘텐츠, 카카오 모바일의 단순 수평적 조합으론 한계가 있다. 다음카카오대주주가 될 김범수카카오의장이 비즈니스 수완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각각의 정체성과 핵심역량을 더욱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서울 한남동에 있는 다음서울사무소.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는 같지만 다르다. 메신저 서비스는 통신회사들이나 포털들이 대부분 시도한 사람과 사람간을 연결하는 서비스이다. SK컴즈의 네이트온이 대표적인 유선의 메신저 서비스이다. 전화와 비슷하다. 사람과 사람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데 주력한다. ‘대화’가 중요하지 ‘정보’와 ‘토론’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SNS그룹과 ‘라인’이나 ‘왓츠앱’,‘카카오톡’과 성격이 비슷한 듯 하면서도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그것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음과 카카오의 통합이 가져올 시너지 효과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비즈니스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은 ‘구글과 안드로이드’의 결합과는 성격이 다르다. 구글과 안드로이드가 톱니바퀴같은 수직적 결합을 통해 전방위 시너지를 냈다면, 다음과 카카오는 당장은 ‘수평적 결합’에 가깝다.
 

사실 M&A는 양측 모두에게 윈윈게임이 되어야 진정한 의미가 있다. 다음과 카카오의 결합이 해피엔딩으로 가기위한 전제조건도 여기에서 찾아야 한다. 통합법인은 당분간 다음과 카카오가 독자적으로 움직이면서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통합할 것이라고 한다. 카카오 다음의 미래를 그려보기란 쉽지 않지만 다음의 광고 노하우와 콘텐츠, 카카오의 ‘모바일’에서의 경쟁력을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실험들이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간의 단순 ‘조합’이 되어선 성공하기 힘들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다시말해 카카오와 다음이 각자가 지닌 정체성과 사업의 핵심역량(core)을 더욱 발전시키는 쪽으로 새로운 서비스의 결합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이라는 기업에 뿌리내린 ‘미디어’로서의 가치는 사실 비즈니스 이상으로의 의미가 있다.

물론 다음도 최근 게임쪽에 진출하고, 모바일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음을 지금껏 지탱해 온 힘은 ‘다음을 다음답게 하는’ 철학과 이를 구현한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이다. 자칫 다음이 카카오처럼 되고, 카카오도 다음처럼 되는 어정쩡한 상황이 온다면 이는 양측에게 재앙이 될수 있다.
 

보도에 의하면, 카카오다음의 1대주주는 카카오의 김범수 의장이다. 이는 ‘카카오’의 철학이 ‘카카오 다음’의 경영전반을 지배하게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솔직히 김 의장과 ‘카카오’에게 다음이 지닌 ‘미디어’의 유전자가 어느 정도나 있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반면, 김 의장은 과거 한게임과 네이버의 결합은 양쪽 모두 핵심역량과 장점을 극대화시키면서 성공모델을 만들었던 당사자라는 점은 기대를 갖게 한다.

지금 다음에게 필요한 것은 김범수 의장의 기존의 서비스를 씨줄과 날줄로 엮어 새로운 비즈니스로 만들어내는 놀라운 통찰력과 비즈니스 마인드일 것이다. ‘카카오다음’이 김 의장의 통찰력과 비즈니스 수완을 바탕으로 ‘미디어 다음’을 더욱 다음스럽게 만든다면 이용자들은 또 한번 그의 ‘신의 한수’에 탄성을 지를 것이다.

카카오톡 등 기존의 카카오 서비스도 마찬가지다. 반대로 두 회사의 통합이 각자의 철학과 정체성의 상실로 이어진다면 우리는 다음과 카카오 서비스 그 이상의 소중한 가치들을 인터넷에서 잃게 될 것이다. 카카오다음은 그래서 여전히 기대반 우려반이다. /이태희 (재)TEIN협력센터 사무총장, 전 방송통신위 대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