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폭탄관세·수출시장 실적부진 등 악재 무관심
협상은 지속…여전히 평행선 걷는 노사
노조의 적극적인 이해 필요…위기 인지 공감대 형성 필요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올해 기아자동차 노동조합 임단협이 난항을 겪으며 장기전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현대자동차와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등이 올해 임단협을 빨리 마무리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각 회사들은 현재의 국내·외 시장상황의 악화와 업계의 위기를 인정하고 회사를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는 의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 기아자동차 양재동 사옥 /사진=미디어펜


하지만 기아차 노조는 현재 상황을 이해하면서도 통상임금 적용과 같은 억지를 부리고 있다는 지적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차 노조는 지난 20일부터 25일까지 예정됐던 파업 일정을 하루만에 취소하고 임단협 갈등을 좁히기 위해 사측과 9차 본교섭을 진행 했지만 특별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마무리 했다. 

당초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 파업을 중단한 것은 기아차 노조가 악화된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아차 노조는 매년 임단협에서 사측과 입장차이가 발생하면 부분파업과 파업을 강행하며 현대차와 다르다는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하지만 그동안 기아차는 현대차 결과에 따라 비슷한 수준으로 임단협을 마무리해왔다. 

하지만 기아차는 올해 이례적으로 현대차 노조도 포기한 ‘영업이익의 30% 인센티브’ 카드를 내밀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앞서 현대차 노사는 8년만에 여름휴가전 무분규 임단협 타결에 성공했다. 글로벌 위기속 회사의 경쟁력강화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아차 역시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지만 여전히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여론의 공분을 샀다. 

이에 앞서 계획된 부분파업을 중단하고 교섭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특별한 진전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시간이 지체되면 다시 노조는 파업카드를 꺼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기아차는 노조에 기본급 4만3000원인상과 성과급 250%, 일시금 250만원, 상품권 20만원을 제시했다. 노조가 요구한 기본급 11만6276원(5.3%) 인상, 성과급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30% 지급 등과 거리가 있지만 현대차 노사의 합의안과는 격차가 크지 않다. 시장상황을 고려해 평년과 같은 최대한의 노력은 이뤄진 것이라는 게 업계중론이다. 

특히 현대차와 차이는 기본급인상분 2000원과 일시금에서 30만원 정도로 그동안 현대차 노사가 타결한 수준에서 기아차가 합의해온 관례 등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크게 반발하기 어려운 제시안이다. 

특히 기아차 노조는 직원들의 평균 연봉과 최근 회사의 실적만 보더라도 무리한 요구안을 제시하기 힘들 전망이다. 기아차 직원의 1인당 평균 연봉은 현대차 직원 연봉을 3년 연속 앞지르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기아차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9300만원으로, 현대차(9200만원)보다 100만원 가량 높다.

현대·기아차의 1인당 직원 평균 연봉은 2014년 9700만원으로 같았지만, 2015년을 기점으로 3년 연속 기아차가 현대차를 앞서고 있다. 이전 기아차 직원 평균 연봉이 현대차를 넘어선 것은 2010년이 처음으로, 현대차에 인수된 이후 처음이었다.

여기에 실적 악화도 문제다. 국내 시장에서는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부진한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기아차 영업이익은 65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868억원)보다 16.3% 줄었다. 반기 기준으로 2009년 이후 가장 낮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과 중국 등 'G2 시장'에서 부진한 게 실적 악화의 주원인이다. 더욱이 현재 미국과 중국이 보복관세 등의 문제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고 한치 앞을 전망하기 힘든 상황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우선이 돼야 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완성차 시장이 위기인 상황에서 노조가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파업을 진행하는 것은 일반인들과 노조의 여론을 움직이기는 힘들다"며 "기아차 노조가 위기속에서 회사의 경쟁력을 먼저 살려야 한다는 중요한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