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동계 반발…시작도 못하고 좌초 위기
노동계, 현대차·광주시와 임금수준 시각차 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광주광역시와 추진해온 반값 임금 공장 실험이 양대 노동계 반발로 사실상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던 현대차 역시 '노사민정' 합의가 없이는 현실적인 투자가 어렵다는 의사를 밝혔다. 

   
▲ 현대자동차가 광주광역시와 추진해온 반값 임금 공장 실험이 양대 노동계 반발로 사실상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사진=미디어펜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지난 19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광주 시민을 모든 비정규직보다 못한 일터로 몰아넣고 최저임금에 허덕이게 하려는 광주시의 투자협상 논의에 참여하지 않겠다”며 “광주형 일자리를 왜곡하고 변절시킨 광주시의 투자협상을 규탄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는 이같은 노동계의 일방적인 불참 선언에 유감을 표하며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협상은 계속될 것이고 앞으로 노동계 의견을 사업 추진 과정에 반영할 것을 약속했다.

당초 광주시와 현대차, 노동계는 의견조율을 마친 뒤 지난 6월 협약을 체결하고 자본금 2800억원, 차입금 42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해 연내 공장을 착공할 계획이었다. 비용은 광주시가 590억원, 현대차가 530억원을 내고 나머지 금액은 투자를 받는다는 구상이었다.

공장이 완공된 뒤에는 완성차 업계의 중요트림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중 1000cc미만의 소형 모델을 주문생산방식으로 완성한 뒤 현대차가 다시 인수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노동계가 일방적으로 불참의사를 밝히며 무산됐다. 이번에도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임금이었다. 

매년 임금문제로 파업을 일으켜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이번엔 새로운 가능성의 새싹마저 짓밟아 버리는 격이 됐다. 

당초 이곳의 임금을 현대차는 연봉 3000만원대를 검토했지만, 노동계는 4000만원 이상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고 광주시가 양측의 의견 차를 좁히기 위해 조율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시간이 흐르며 서로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 최근엔 광주시와 현대차의 협상 과정에서 애초 연봉보다 임금을 더 낮추는 방안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노동계의 반발이 커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연봉을 4000만원으로 책정할 경우 수당 등을 더한 실제 연봉은 5000만원 수준까지 높아져 당초 취지에 어긋나는 일자리 공장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작하지도 못한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노동계의 집단 이기주의가 가로 막았고, 구직을 원하는 이들의 희망마저 꺾어 놨다. 아무리 현재 정부가 친노동계라고는 하지만 정책적인 큰 방향성에 반하는 것을 합리화 시킬 수 없다.

문제는 또 있다. 노조구성을 인정하라는 것이다. 

완성차 업계가 이미 강성노조로 저효율 고임금문제로 글로벌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일자리에도 자신들의 권력으로 쥐락펴락하려하고 있다. 또 일감 감소를 우려하는 완성차 업계 노조의 반발도 이번 프로젝트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들먹이는 노동계 때문에 업계에서는 광주형 일자리가 사실상 무산됐다는 분석을내놓고 있다. 노동계 양대 축이 동참하지 않고 반값 임금을 주는 자동차 공장을 운영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노사민정 합의가 없다면 기업이 투자를 해도 성과를 볼 수가 없다”며 “상호간의 신뢰를 쌓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