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한국경제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대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구조적 장기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홍준표, 정민 연구위원은 7일 '2019년 국내외 경제 7대 이슈'를 발표하고 "한국경제는 투자 위축, 소비 부진의 장기화가 예상되며 노동 투입 축소, 노동생산성 정체 등 구조적으로 장기침체에 진입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올해 한국경제는 전년 대비 2%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경기가 더 어려우리라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소비, 투자 등 내수의 힘은 점차 빠지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은 1990년대 초중반 40%에서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30% 안팎으로 위축했다.

반면 총예금 대비 기업예금은 외환위기 이후 확대 추세에 있다.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현금을 쌓는 등 보수적인 경영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황이다.

고령화 탓에 전체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2007년 76.7%에서 2016년 71.7%로 후퇴했다. 

노동생산성도 2011년 이후 정체하면서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61%에 그쳤다.

반도체 이후 성장세를 이끌 주자가 없다는 점도 우려다.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 증가율은 2017년 21.6%에서 2018년 15.7%, 2019년 5.2%로 점차 둔화하고 있다.

중국이 정부 주도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 반도체 시장에서 한중 경쟁도 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부터는 기업들의 엑소더스 가속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기업들의 해외투자가 지속해서 늘어나는 가운데 법인세율 인상 등 국내 규제 장벽은 높고 보호무역주의가 강화하고 있어서다.

고용시장에는 '뉴노멀'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3%대 후반, 고용률은 60% 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7년 이후 둔화하는 추세다. 

보고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경제 내 고용창출력 하락 때문에 앞으로 예전만큼 취업자 수가 늘기 힘들다고 내다봤다. 이 경우 적절한 취업자 수 증가 폭에 대한 새로운 표준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대외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2009년 6월 저점 이후 2018년 10월까지 112개월간 역사상 두 번째로 긴 경기 확장 국면을 맞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 정상화가 지속할 것이라는 점이 내년 경제의 변수로 꼽혔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