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베트남 등 10여개국 진출…주로 대형 증권사 국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일자리에도 변화가 닥쳐올 전망이다. 지난해 말 출범한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경우 2022년까지 128조원, 2030년까지 최대 460조원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강력한 규제로 시장원리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본지는 '금융이 희망이다'라는 주제로 금융업권의 규제 완화 목소리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주]

[퀀텀점프 코리아 2020] 금융이 희망이다①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해외 새로운 지역에 신규 점포를 내는 등 시장 개척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최근엔 베트남을 위주로 하는 공격적인 리테일 전략이 효력을 보고 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증권사들이 홍콩, 미국, 브라질 등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다. 해외진출에 가장 적극적인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미국, 중국, 베트남, 브라질,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몽골 등 총 11개국에 진출해 현지법인 12개, 해외사무소 3개(베이징, 상하이, 호치민)를 운영 중이다. 

이 중에서 브라질법인의 경우 주식형 펀드, 혼합형 펀드, 채권형 펀드, 부동산 펀드 등 다양한 유형의 200여개 펀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공개(IPO), 유상증자, 회사채 인수, 인수합병(M&A) 컨설팅, 브라질 국채 소개 등 브라질과 한국 기업 고객을 위한 투자은행 업무를 수행 중이다.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 5월부터 펀드몰 서비스를 런칭해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는 등 빠르게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다.

NH투자증권은 홍콩,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현지법인 6개, 사무소 2개를 보유 중이다. 홍콩 현지법인은 국내 고객을 위한 해외 채권 중개와 기업금융(IB) 딜소싱에 에너지를 집중시키고 있다. 뉴욕법인에서는 국내외 고객에 최적화된 글로벌 에쿼티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인 NH코린도증권의 활약이 부각된다. 코린도증권은 지난 6월 골판지 제조업체인 스리와하나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상장시킨 데 이어 7월 호텔관련 업체 시네르기, 이달 7일 인도네시아 1위 영화제작사인 MD픽쳐스의 IPO를 줄줄이 주관해 업계 화제가 됐다. NH코린도증권은 연말까지 총 5개 기업을 상장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KB증권의 경우  홍콩, 뉴욕 현지법인과 베트남 현지 자회사, 상하이사무소 등 뉴욕, 중화권, 베트남을 중심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시키는 추세다. KB증권은 작년 홍콩 현지법인에 8000만 달러를 증자했고, 베트남 현지 증권사인 매리타임증권을 인수해 올해 1월 베트남 자회사 ‘KBSV’를 공식 출범시키기도 했다. 

뉴욕 현지 법인은 미주지역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중개와 한국 기업에 대한 리서치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IB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부심하는 형국이다. 브로커리지, 자기자본거래(Proprietary trading), 언더라이팅(Underwriting), IB 등을 영위하는 베트남 법인은 현지의 우수 상품을 발굴해 한국으로 소개하고, 현지 IB 딜과 관련해 한국 본사와 협업 중이다.

마지막으로 한국투자증권은 런던, 뉴욕, 싱가포르, 홍콩,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현지법인 7개, 해외사무소 2개를 운영 중이다. 한투는 작년 12월 단박 증권사 지분 75%를 인수해 지난 7월 ‘KIS 인도네시아’ 법인을 공식 출범시켰다. 

올해 말까지 한국형 홈트레이딩 시스템, 모바일트레이딩 시스템을 현지에 도입하고, 채권, 주식중개 인프라 등을 확장해 향후 5년 내 현지 상위 5위권 증권사로 끌어올린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현지법인은 지난 여름부터 베트남 파생상품(선물) 라이선스를 취득해 파생상품 시장에 진출하기도 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국내 증권사 중 해외에 진출한 곳은 15곳, 해외법인 수는 총 47개에 이른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증권사들의 해외 진출은 대형사에만 국한된 실정”이라면서 “‘증권 한류’ 창출을 위해서는 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