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항 사업 변경 추진…총 사업비 1000억원 이상 증가
[미디어펜=나광호 기자]한국석유공사가 추진해온 동북아오일허브 울산 북항 사업이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로 사업 내용을 변경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이 1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동북아오일허브 울산 북항 사업은 투자자 모집을 시작한지 6년이 지난 지금까지 주주모집을 완료하지 못한 상태다. 

또한 '참여 예정 주주'인 포스코대우와 프로스타도 투자를 확약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는 등 주주 모집에 거듭 어려움을 겪자,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울산 북항 사업의 잔여 투자지분을 유치하기 위해 사업 내용을 석유제품 위주에서 LNG등 저장유종 다양화로 바꾸겠다고 밝혔으며, 석유제품 취급량은 기존 계획의 20%가량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사업의 예산과 면적 등도 대대적으로 바뀔 전망이다. 당초 예정된 부지 면적은 30만㎡였으나 사업 내용을 변경하면 15만㎡으로 줄어든다.
 
반면 사업비는 1000억원 이상 증가된다. 기존의 총 사업비는 5862억원이었으나, 석유공사가 밝힌 사업비 조정 규모는 7000억~7300억원 규모다. 산업부는 예비타당성 재조사를 받지 않도록 30%이내인 1758억원 이내로 사업비를 증액한다는 계획이다.

   
▲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사진=김삼화 의원실


김 의원은 이와 관련 "사업을 조속히 정상화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나,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당초의 사업 취지에 부합하는지 여부와 사업의 실현가능성 등에 대해 먼저 면밀히 검토해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LNG터미널사업'이 본래의 동북아오일허브 설립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거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부는 오일허브 사업의 기대효과로 △석유안보 제고 및 에너지 수급 안정화 △신성장 동력 산업 발굴 △전후방 연관산업의 고용창출 △석유물류 활성화에 따른 금융업무 확대 △국내 석유산업 경쟁력 제고 △동북아 국가간 협력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계획대로 국내 기업의 자가발전용 LNG 공급용 시설이 들어설 경우 이러한 효과는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관련 인허가 및 승인을 위해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더 걸릴 예정이지만, 산업부·석유공사·가스공사간 관련된 별다른 협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가스공사는 이미 81만KL의 저장탱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2031년까지 120만KL 규모로 확대한다는 방침이어서 정부기관 간 사업 중복 논란도 예상된다. 가스공사는 직도입 발전사업자들에게 LNG터미널 시설을 일부 대여해주기도 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