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곳에 없는 특이한 형태...철제 말발걸이도 발견
   
▲ [사진=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가야 초기 연맹체를 주도했던 금관가야의 왕궁터로 추정되는 경남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4∼5세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집모양토기(家形土器. 사진)가 나왔다.

기존 가야계 집모양토기는 대부분 고상식(高床式·마루를 높게 쌓은 형태)인데, 이번에 발견된 토기는 지면에 밀착해 건축물을 세운 지면식(地面式)이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15년부터 연차 발굴 중인 김해 봉황동 유적 내 4세기 말∼5세기 초 건물터 주변에서 지난해 가을 길이와 높이가 6∼7㎝인 집모양토기를 출토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토기는 정면은 평평하지만, 뒤쪽 벽체는 반원형으로, 앞쪽은 가운데 부분에 사각형 구멍을 냈고, 아래에 받침대가 있으며, 옆쪽에는 안에서 바깥으로 원형 창을 뚫었다.

지붕도 앞뒤가 달라, 앞은 책을 뒤집어 놓은 듯한 삿갓 모양 맞배지붕이지만, 뒤는 둥그스름하다.

2014년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이 경남 창원 진해구 석동 유적에서 찾아낸 4∼5세기 집모양토기는 기둥 9개 위에 누각 같은 건물을 올렸고, 지붕은 완전한 맞배지붕이다.

강동석 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가야 유적 출토 혹은 가야 유물로 알려진 집모양토기는 대략 9점인데, 봉황동 유적 집모양토기는 다른 곳에서 나오지 않은 독특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강 연구관은 "집모양토기가 무덤이 아닌 생활유적에서 나왔다는 점도 특이하다"며 "봉황동 유적에서는 사람이나 동물 모양 토우(土偶)가 출토된 바 있는데, 집모양토기도 의례용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고상식 건물은 창고로 추정되지만, 이번에 나온 토기는 집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며 "가야 생활사와 건축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 삼한 가옥에 대해 설명한 "거처는 초가집과 흙방으로 짓는데, 모양이 무덤과 같으며 그 문이 위에 있다"라고 설명한 대목과, 봉황동 유적 집모양 토기 생김새가 유사하다고 덧붙였다.

봉황동 유적에서는 고리 상단부에 구멍을 내고 철심을 박은 철제 말발걸이(등자)도 발견됐다.

강 연구관은 "일반적으로 삼국시대 말발걸이는 고리에 접합부가 없다"며 "국내 처음으로 확인된 말발걸이 형태로, 마구(馬具) 제작기술과 변천 과정을 알려주는 유물"이라고 말했다.

이어 "말발걸이는 6세기 무렵 유물이 많아, 접합부가 있다고 해서 발달한 제작기술이 적용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