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대한민국은 북한에게 국군포로 송환부터 요구해야 한다. 국군 포로 문제를 거론하면 남북 대화에 방해된다는 생각을 버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북한은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절박하게 느끼도록 해야 한다."

지난 10일 오후2시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앞에서 열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공동 규탄 기자회견'에서 양일국 자유민주연구원 정책연구위원은 이같이 말했다.

양일국 연구위원은 이어 "6.25 전쟁 정전협정 65주년인 2018년 북한은 '6.12 미북공동선언'에 따라 미군 유해를 송환했지만 4.27 판문점 선언에서 국군 포로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양 연구위원은 이날 규탄사를 통해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 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모토 '그들이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Until They are Home)'를 언급하면서 미국 사회가 군인 예우를 중시하는 사례를 소개했다.

사단법인 물망초를 비롯해 6.25공원국민운동본부와 프리덤칼리지장학회, 역사지킴이, 역사두길포럼 등은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박물관의 이번 특별전이 끝나는대로 국군포로, 납북자 등을 다루는 특별 전시회를 열 것을 박물관에 제안한다"고 밝혔다.

특히 성명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파악하고 있는 국군포로의 수는 모두 몇 명인가"라며 "박물관측이 언론에 '북한의 강요에 의해 (미송환 국군포로가) 남은 것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언급한 것은 10만여 명에 달하는 국군포로들과 그 가족들을 모독하는 언사"라고 비판했다.

   
▲ 사단법인 물망초를 비롯해 6.25공원국민운동본부와 프리덤칼리지장학회, 역사지킴이, 역사두길포럼 등은 10일 공동성명을 내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규탄했다./사진=사단법인 물망초 제공

앞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전쟁 포로, 평화를 말하다' 특별전에서 10만명이 넘는 국군포로에 대한 서술을 회피하고 국군포로들이 자발적으로 북한에 남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7일 6.25 국군포로가족회의가 기자회견을 가진 것에 이어 국군포로 어르신을 지원하고 있는 사단법인 물망초는 지난달 18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앞에서 첫 번째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후 23일 한국역사진흥원이, 28일에는 역사두길포럼이 기자회견을 이어갔고 같은날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피랍탈북인권연대, 애국문화협회, 북한자유인권글로벌네트워크 등도 집회를 열면서 시민단체들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다.

박선영 물망초 이사장 또한 지난 8일부터 박물관 앞에서 '10만 국군 포로없이 대한민국도 없다'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에 나섰다.

이에 뒤따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규탄하는 시민들이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