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섭리로 종횡무진 파헤친 ‘부의 비밀’…빈부 운명 보이는 자본주의 시대 성공담론
[미디어펜=문상진 기자]"인간이 생명의 바탕인 정보 에너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곳은 우리 모두가 사는 자유시장경제를 근간으로 한 사회이며 국가다." "돈을 버는 일과 부의 소유는 결국 우리들 모두의 자신에 의해 무한변수가 분기하면서 생기는 수많은 미지의 길에 보다 많은 '부가가치 분산의 방식'으로 결정된다."

   
기자와 언론인으로 활동해 온 저자 민경두(스카이데일리·스카이엔 대표이사)는 빈부가 갈리는 근원적 이유에 대해 알고 싶어 시작한 공부를 통해 빈부의 운명까지 볼 수 있는 현대 자본주의 시대 성공담론을 600여쪽에 걸쳐 차분하게 써내려간 책이 화제다.

경제논리가 아닌 자연과학의 눈으로 본 '자유시장경제'가 영속성을 갖고 인류에게 계속 공헌하는 시스템으로 번영할 수밖에 없다는 원리를 담아낸 신간 '부(富)의 열쇠'(논형, 608쪽, 양장)가 그것이다.

'돈과 인간의 질서'란 부제가 달린 이 책은 현대인이면 누구나 알고 싶어하는 '부의 비밀'을 독특한 에너지 원리인 물리학·수학 등을 기반으로 철학·종교·역사·문학까지 넘나들며 종횡무진 풀어내고 있어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책에는 돈의 세속적 모습이 인간과 생명의 정밀한 질서에 어떻게 관여돼 있고 얽혀 있는지에 대해 자유시장경제가 존립해 온 다양한 인과율(因果律)의 원리로 정교하게 묘사돼 있어 신선한 충격을 준다.

하지만 결정론적 인과율은 비결정론으로 제시된다. 그 원인에 수많은 인간 네트워크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카오스가 하나씩 증거된다. 이는 자유의지 에너지가 작동하는 자유시장경제가 필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논지로 이어진다.

돈은 자유의지와 동거하는 연장선상에서 자유시장경제의 힘으로 규정되고 있다. 독자들은 자유시장경제에서 천의 얼굴로 복잡하게 돌고 있는 돈의 실체를 보면서 애초 선악의 구분이 없다는 저자의 미묘한 정의가 풀리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그럴수록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하지만 이내 고개를 반복적으로 끄덕이며 하나 된 선악의 모습이 드러남을 보게 되고 돈이 인간에게 표현하는 천의 얼굴이 수행하는 역할을 하나하나 확인하게 된다. 

돈의 순환 장면들이 보인다는 것은 돈의 선악을 지나치게 구분하지 않고 오직 현재뿐이라는 순간의 일념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일과 그 소명의 과정에 충실할 때 자신의 손에 쥐어지는 부가가치 효율로 설명되고 있다.

저자는 돈의 정체에 대해 부를 쌓는 단순 재료를 넘어 부의 운명을 보는 현미경이자 망원경이라고 규정한다. 그 돈이 자신을 보는 상태로 동시에 다가옴을 느끼면 자유시장경제에서 치열하게 살고 있다는 반증이며, 그것이 '부의 길'을 보고 들어선 것이라고 말한다. 독자들이 이를 공감하면 돈은 그저 삶과 생활의 수단이라고 생각했던 기존의 관념이 무너져 내린다.

돈은 수단이 아니라 자연의 생태계에서 생생하게 꿈틀거리는 생명으로 일관되게 표현되고 있다. 돈은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미시의 에너지 역학을 머금은 생명과 영혼으로 인간의 심부인 의식까지 파고들어 거시 현상계를 순환하는 치열한 운동의 중심에서 '정밀한 질서자'라는 것을 저자는 웅변하고 있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돈을 만들고 돈을 쌓으며 그 돈을 잡는 방법을 알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시장의 핵심 에너지로 강력히 옹립된다. 따라서 자유의지에 의해 자신을 심판하는 오싹한 과정이 보다 확실한 부의 형성과정이라는 원리가 묘한 동질감으로 느껴지면 모두가 부를 향유할 수 있는 자유시장경제 옹립 의도를 이해한 것으로 정리된다.

인간은 이런 시장에서 끝없는 출발(분기)의 반복을 통해 선택하는 행위인 책임을 갖는 치열한 휴먼지향성 운동을 하게 된다고 한다. 이 느낌을 갖게 되면 반드시 '부의 행운'을 스스로 만들어 낸다고 안내한다. 또한 자신도 '부의 기운'이 느껴지면서 앞으로 걸어갈 운명적인 '부의 로드맵'을 설계할 혜안도 생긴다고 제시하고 있다.

책은 또 자유시장경제 경쟁 속에 숨겨진 과학의 원리는 돈의 진짜 모습을 한 꺼풀씩 벗겨내는 힘이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과학에 담긴  에너지는 다름 아닌 일하는 인간의 본질이고, 그 일 에너지 정보 안에 단단히 똬리를 틀고 있는 원초적 모습이 바로 이타적 도덕률이라는 것도 자신있게 풀어 헤친다.

인간의 신체와 다르지 않은 옷을 입고 있는 도덕률은 에너지를 넘어 정보로 제시된다. 돈 속에도 수많은 정보가 역동함을 저자는 자신하고 있다. 이 '정보 에너지'는 자유시장경제가 필연적으로 번영할 수 있도록 매순간 방점을 찍어주는 인도자로 올라선다. 인간은 그 정보 네트워크에서 태어나는 존재로 재차 규정된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