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소방청이 긴급구조시 피해자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소방청은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부처 협력 사업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을 착수한다고 20일 발표했다.

   
▲ 그림=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동안 긴급한 범죄·재난 상황에서 경찰·소방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했지만 구조 요청자의 ‘위치 파악’이 부정확해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있다는 지적이 연이어 나왔다.

112 또는 119로 구조를 요청할 경우 긴급구조시스템을 통해 파악된 구조요청자의 위치 범위는 100m 이상 차이가 나거나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정확성도 미흡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 경찰청, 소방청은 범죄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와 직결되는 정밀 측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년부터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했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4년) 총 201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해 실외는 물론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50m 이하로 위치측정 오차 범위를 줄이기로 했다. 

아울러 ▲그동안 긴급구조 측위가 안됐던 단말(알뜰폰, 자급제폰, 키즈폰, 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해 긴급구조 측위 사각시대를 해소해 나갈 예정이다.

경찰청은 ▲전국 단위의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해 과기정통부에 제공 ▲현장에서 LTE 신호세기 및 시간지연정보로 거리를 측정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 ▲112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방청은 ▲화재 등으로 재난현장 건물 내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와이파이, 비콘 등)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 단말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소방대원과 실내 요구조자의 측위 정보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 ▲119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다부처 간 원활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R&D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진행한다. 협의체는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의 주요 사항을 긴밀히 협의해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측 관계자는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