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3일 "4차 산업혁명을 맞아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신용정보법을 비롯한 경제 3법의 개정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문제다"고 강조했다.

이날 최 위원장은 서울시 여의도 국회에서 개최된 '신용정보법 공청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데이터 기반의 금융혁신이 가속화됨에 따라 획일적․평균적인 금융상품은 점차 사라지고, 개개인의 선호·위험성향, 신용상황 등을 반영한 맞춤형 금융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며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에 따라 금융산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산적·포용적 금융으로 바뀌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예컨대 기존까지 금융데이터 위주의 신용평가로 인해 금융이력이 부족했던 청년층, 주부 등의 계층도 금융을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그는 "금융이력이 부족했던 계층도 통신료 납부, 온라인 쇼핑, 디지털 행동패턴 등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게 되면 더 낮은 금리로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며 "금융회사, 정부·공공기관 등에 고여 있기만 한 카드결제·매출 데이터, 세금·사회보험료 등 생생한 데이터들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활용되면 소상공인·자영업자들께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은 국내의 문제가 아닌 전세계적인 추세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은 임 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를 마치고 데이터 경제로 전환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최 위원장은 "EU의 경우 일반개인정보보호법(EU GDPR)이 2016년에 제정돼 지난해 5월 전면 시행됐다"며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를 상대로 영업하는 구글, 페이스북 등 빅테크(Big Tech) 기업들은 EU GDPR에 맞추어 데이터 활용과 정보보호 체계를 정비해 나가는 추세다"고 말했다.

다만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는 "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대감만큼이나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지, 빅데이터 혜택에서 개인들이 소외되는 것은 아닐지 염려하시는 이들이 많다"며 "하지만 데이터 활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당면한 급박한 현실을 외면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 스스로 질문해 보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