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중 공공부문 일자리 4만 6천개 늘어
   
▲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전체 일자리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9.0%로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21.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 공기업 등을 모두 합친 공공부문 일자리는 241만 1000개로 전년보다 4만 6000개 늘어났다.

증가 폭은 지난 2015년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크다.

총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고용비율은 9.0%로 0.08%포인트 상승했으며, 일반정부는 7.7%로 0.12%포인트 뛰었지만, 공기업은 1.3%로 전년보다 0.03%포인트 낮아졌다.

전체 일자리 중 공공부문 비중은 OECD 회원국 평균 21.3%(2013년 기준)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비교 대상 회원국 중 일본 7.9%에 이어 꼴찌 수준이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에 따라 각 부처가 채용계획을 세우면서,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 폭이 확대됐다"면서 "다만, 정원 반영 이후 실제 채용까지는 시차가 있어 아직 모두 반영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206만 3000개로 전년 대비 2.5%인 5만 1000개 늘었고, 공기업 일자리는 34만 8000개로 전년보다 1.4%인 5000개 감소했다.

근로복지공단의 분류가 공기업에서 일반정부 소속인 사회보장기금으로 변경되면서 공기업 일자리가 줄었다.

일반정부 일자리 중에는 지방정부가 125만 1000개(51.9%)로 가장 많았으며 중앙정부 77만 4000개(32.1%), 사회보장기금 3만 7000개(1.5%) 등이었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는 207만 5개(86.0%)였고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바뀌었거나 신규 채용된 일자리는 33만 6000개(14.0%)였다.

지속일자리란 1년 이상 동일한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상대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로,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가 63.2%, 신규채용 일자리가 36.8%라는 것과 비교하면, 안정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신규채용 일자리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29만 1000개(86.5%), 공기업 일자리는 4만 5000개(13.5%)로 일반정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