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업무계획…문화재 수리제도 강화, 완주문화재연구소 신설
   
▲ 강진 백운동 원림 [사진=문화재청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손혜원 의원 관련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되면서 널리 알려진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과 같은 면(面)·선(線) 단위 등록문화재가 올해 5개 더 선정된다.

지난해 8월 등록한 목포, 군산, 영주 구도심에 5개를 추가, 문화재 중심 지역재생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문화재청이 13일 공개한 2019년 주요 업무계획에 따르면, 근대역사문화공간 사업을 위해 오는 9월 면 단위 등록문화재 5개를 신규 선정한다.

아울러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지정문화재로 나뉜 문화재 지정 체계를 반영, 광역지방자치단체가 문화재 가치가 있는 근대문화유산을 등록하는 '시도등록문화재' 제도를 오는 12월에 도입한다.

전승에 어려움을 겪는 무형문화재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향후 해결해야 할 무형문화재 분야 3대 핵심과제로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효과적 관리와 지원, 취약·일반·활성화 분야 간 선순환 지원 시스템 구축, 공연·예술·기술과 생활습관·전통지식 분야 간 맞춤형 관리제도 마련을 선정했다.

또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없을 경우 하위 단계 전승자인 전수교육조교가 전수교육 권한을 지니도록 하고, 연로한 전수교육조교를 명예보유자로 인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승 활동 우수 이수자 20명을 뽑아 지원하고, 보유자나 보유단체가 없어 전승 활성화가 어려운 생활습관 분야는 우수 프로그램 공모·체험 등을 통해 맞춤형 지원을 시행한다.

문화재수리기술위원회를 문화재청에 설치하고 지자체별 설계심사담당관을 배치, 문화재 수리체계를 더욱 강화한다.

수리 감리 대상을 확대하고, 감리를 시행하지 않은 문화재는 '문화재 수리 완료 사전 검토서' 제출을 의무화하며, 숭례문 복구의 마지막 과제로 남은 단청 안료 품질과 인증 기준 마련 연구를 지속한다.
   
경북 봉화에 오는 2023년까지 문화재수리재료센터를 건립해 문화재 수리용 부재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관리할 계획이다.

국정과제인 가야사 문화권 조사·정비도 지속, 가야사 실체를 밝히기 위해 창녕 계성 고분군, 장수 상봉리 고분군과 동촌리 고분군을 발굴하고, 지난해 시작한 중요 가야 유적과 유물의 사적과 보물 지정을 계속한다.

또 전북 지역 가야사 본격 연구를 위해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를 신설하고, 장수 동촌리 고분군 전시관 건립을 지원한다.

더불어 올해부터 12월에서 7월로 앞당겨지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 시 영·호남 가야 무덤떼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을 뽑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문화재 방재를 위해 도입한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하는 유적을 3곳에서 34곳으로 늘리고, 오지에 있는 문화재를 점검하기 위해 무인기를 운영하며, 폐쇄회로(CC)TV와 적외선 감지기 설치를 확대함과 아울러, 국가민속문화재·사적·등록문화재에도 안전경비원을 배치한다.

'문화재 돌봄사업' 대상 증가와 돌봄 인력 전문성 강화도 추진키로 했다.

'문화재 향유'와 관련해서는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광화문의 월대를 복원하고, 경복궁 근정전과 장고 등 전각 개방을 확대하며, 올해 처음으로 상시 야간 관람을 허용한 창경궁에는 무인 입장센서 게이트를 설치한다.

조선왕릉 중 비공개 왕릉 두 곳 중 하나인 양주 온릉(溫陵)은 10월께 개방할 예정으로, 중종비 단경왕후가 잠든 온릉이 문을 열면 고양 서삼릉 효릉(孝陵)만 미공개로 남는다.

외국에 있는 우리 문화재를 구매할 비용은 지난해 10억원에서 50억원으로 늘렸고, 훼손 위기에 처한 국내 비지정문화재 매입 비용 10억원도 배정했다.

세계유산법 제정과 유네스코 영향평가 제도 도입, 지자체 문화재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우수지자체 인증제 시행, 문화재 정보 공개 확대도 추진하며, 항일 문화유산 복원과 정비, 문화재 활용 교육 활성화, 남북 문화유산 교류와 협력, 문화유산 공적개발원조 등도 차질 없이 운영할 방침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