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미국 재무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벤츠를 실어나른 ‘랴오닝 단싱’ 국제화운 유한공사를 포함해 중국 해운회사 2곳을 독자제재 대상에 올렸다.

올해 들어 나온 미국의 첫 독자제재로 지난달 28일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뒤 북한의 협상중단 경고가 나오는 등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미 재무부는 이와 함께 북한과의 불법 환적 등을 한 것으로 의심받는 선박들을 무더기로 추가한 북한의 불법 해상 거래에 대한 주의보를 갱신해 발령했다.

재무부는 보도자료에서 랴오닝 단싱을 제재한 이유에 대해 “북한에서 운수사업을 벌였고, 유럽연합(EU) 국가에 소재한 북한 조달 관련 당국자들이 북한 정권을 위해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상습적으로 기만적인 행태를 보여왔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공개한 전문가 패널의 연례보고서에도 등장한다. 당시 보고서는 “메르세데스-벤츠 리무진들을 북한으로 수송한 혐의로 전문가 패널의 조사를 받고 있는 회가”라고 명시하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남북정상회담 때 나란히 벤츠 차량에 타고 시내 카퍼레이드를 벌이는 사진을 실었다.

또 다른 제재 대상 기업인 ‘다롄 하이보’에 대해 미 재무부는 “미국의 제재 대상인 백설 무역회사에 물품을 공급하는 등 조력했다”고 밝혔다. 백설 무역회사는 북한 정찰총국 산하로 금속‧석탄을 거래한 혐의로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하노이회담 이후에도 북한에 대화의 문을 열어뒀던 미국은 이번 조치로 비핵화 견인 조치인 대북제재의 고삐는 더욱 죄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박 대 선박 환적 등 해상무역을 봉쇄하고,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자금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미중 간 무역협상 재개를 앞두고 대북제재에 대한 중국의 공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대중 압박 차원이기도 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미 정부는 지난해 10월북한을 위해 자금세탁한 혐의로 싱가포르 기업 2곳과 개인 1명에 대한 독자제재를 가했으며, 11월에는 북한의 석유수입과 관련해 도움을 제공한 혐의로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의 개인 1명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또 12월에는 북한의 2인자로 불리는 최룡해 노동당 부위원장을 비롯한 정권 핵심인사 3명을 인권유린 혐의로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바 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