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유통, 금융, 의료 등 전 산업 혁신 위한 핵심 인프라
글로벌 시장 선도 위한 꼼꼼하고 체계적인 전략 마련 필요
   
▲ 김영민 디지털생활부장
[미디어펜=김영민 기자]밤 11시 기습 작전이었다. 당초 5일로 예정된 스마트폰 기반 5세대(5G) 상용화가 지난 3일 밤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었다.

해프닝은 삼성전자가 지난 3일 오후 한 첩보를 입수하면서 시작됐다. 미국 통신사인 버라이즌이 5G 상용화 일정을 오는 11일에서 4일 새벽 1시로 앞당겼다는 것이다.

첩보를 접수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오후 5시 이동통신사들을 불러 긴급 회의를 열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약속했던 정부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이날 오후 늦게라도 개통을 시작해 5G 상용화를 개시한다는 긴급 처방을 내렸다.

이통3사는 서둘러 1호 개통자를 물색하고 버라이즌보다 2시간 앞선 3일 밤 11시 5G 1호 가입자를 탄생시켰다.

결과적으로 한국이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가져갔다. 하지만 일부 외신들로부터 한국의 5G 상용화는 연예인 위주로 개통이 이뤄졌기 때문에 진정한 상용화라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

당초 3월 말로 예정됐던 5G 상용화는 단말기 및 요금제 출시가 지연되면서 4월 초로 옮긴 것이 화근이었다. 당시 미국은 4월 11일로 상용화 일정을 정해 한국은 다소 여유가 있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지난 2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업데이트를 통해 5G 지원 모드가 추가되면서 5G 모뎀 추가 방식으로 5G 서비스가 가능해지자 미국 버라이즌이 '세계 최초' 타이틀에 욕심을 낸 것이다.

미국 버라이즌의 5G 상용화도 사실상 반쪽짜리다. 5G 전용 스마트폰이 아닌 기존 폰에 5G 모뎀을 장착하는 수준이어서다. 반면 한국은 삼성전자의 첫 5G 스마트폰인 '갤럭시S10 5G'로 5G 상용화가 이뤄졌다. 따라서 한국이 '세계 최초' 타이틀을 차지하는데 무리가 없어 보인다.

   
▲ SK텔레콤 T월드 강남직영점 앞에서 고객들이 '갤럭시 S10 5G' 개통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사진=SK텔레콤

문제는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5G 상용화가 어설프게 이뤄졌다는 점이다. 일주 외신들은 "연예인 위주의 개통"이라며 삐딱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급기야 기습 작전까지 해서 '세계 최초' 타이틀을 지켜야 하는가라는 눈총까지 보냈다.

일본 언론들은 "5G 상용화 대상이 한국이 연예인이나 스포츠 선수 등 일부에 한정됐고 일반인 대상 서비스는 5일에 시작한다"며 "'세계 최초' 타이틀은 한국이 아닌 미국이 가져갔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한국이 5G '세계 최초' 타이틀에 집착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난 3년간 5G 상용화에 공을 들여왔고, 글로벌 표준까지 만들며 기술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의 5G 상용화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만큼 '세계 최초' 타이틀이 가져다줄 경제적 효과도 적지 않다.

기습 작전까지 불사해 미국보다 2시간 앞서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개시하며 다소 불안한 출발을 했지만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세계 최초' 타이틀과 함께 그동안 주도해온 5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역량을 총 집결해야 한다. 5G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다. 자율주행, 무인로봇, 홀로그램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혁신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이 된다.

5G는 단순히 이동통신 서비스를 넘어 자동차, 유통, 금융, 의료 등과 융합해 전 산업의 혁신을 불어일으킬 중요한 인프라다. 따라서 산업 전반에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도 글로벌 5G 시장 선도를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 전략인 '5G+ 전략'을 오는 8일 발표한다. 우수한 5G 기술과 인프라, 콘텐츠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5G를 국가의 핵심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가 추산한 5G의 국내 경제효과는 2025년 연간 30조원이 넘고 2030년에는 연간 48조원에 달한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5G 관련 글로벌 경제 생산규모가 2035년 12조3000만달러(1경3600조원)에 달하고, 약 2200만개의 일자리가 창줄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 기습작전까지 동원한 '세계 최초' 5G 상용화 해프닝을 교훈 삼아 5G 시대를 리드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꼼꼼한 플랜을 마련하고 민관이 함께 국가 경쟁력으로 키울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한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