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올 4월(2일 기준) 전국 44.2% 주택가격 하락
반면 서울 주택 10채 중 9채는 가격 오른 것으로 나타나
   

[미디어펜=홍샛별 기자]9·13 부동산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 시장 가격이 급락없이 안정적인 하향세 그리며 연착륙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에서도 서울 아파트 10채 가운데 9채는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9·13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해 9월부터 올 4월(2일 기준)까지 전국 44.2% 주택형의 가격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지역별 가격 하락 주택형 변화는 수도권이 26.8%에서 29.2%로 2.4%포인트(p), 지방은 54.7%에서 57.6%로 2.9%p 각각 증가했다. 

특히 가격이 하락한 주택의 비중은 올 들어 더 늘어났다. 

지난해 1~8월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했을 때, 9~12월 거래가격 하락한 주택형 비중은 40.9%였지만 올 1~4월 거래가격 하락 주택 비중은 53.7%로 12.8%p나 증가했다. 

동기간 수도권은 26.6%에서 42.2%로 15.6%p 증가해 지방 7.2%p(54.3%→61.5%)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수도권은 절반 이상의 주택형이 상승했다. 

9·13 대책 이전(2018년1~8월)과 비교하면 대책 이후 서울에서 가격이 상승한 주택형 비중은 92.7%나 됐다. 하락형 주택형은 7.0%에 불과했다. 

인천·경기 지역에서도 가격 상승 주택형 비중이 하락 주택형 비중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인천의 가격 상승 주택형 비중은 53.7%였고 경기는 61.7%를 기록했다. 정부의 9·13 대책 이후에도 서울 등 수도권의 거래가격 상승이 유지된 것으로 풀이된다.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매수자와 매도자간 가격 줄다리기가 발생하면서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 4일 한국감정원 발표에 의하면 9·13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1주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서울 거래 사례의 90% 이상은 9·13 대책 이전에 비해 오른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됐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현상을 시장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정책 변화로 시장환경이 변하고 그에 따라 기존의 매도자와 매수자의 상황판단이 달라지면서 시장 과도기가 발생했다는 것. 다만 현재 정부의 정책 의도는 충분히 반영돼 급격한 가격 하락보다는 연착륙을 유도, 가격의 안정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현재 상황은 매도자와 매수자간의 가격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면서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급격한 거래 감소에 예민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현재의 거래 감소는 수요뿐 아니라 매도자에게도 원인이 있다는 최 매니저는 이어 “보유에 따른 금융 비용 부담 등이 급격히 늘어나지 않은 상황인 매도인들은 매수자들의 낮아진 희망 가격을 수용하지 않으면서 거래 위축이 더 심화될 수 있다”며 “공시지가 인상에 따른 보유세 부담이 현실화되는 6월 이후 매도자의 의사 결정에 따라 시장의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