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해지는 삼바 여론몰이…국정농단 사태 연상
'삼성죽이기' 도 넘어…여론 호도 언론플레이 자제해야
   
▲ 조우현 산업부 기자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저희는 진실규명을 위해 수사에 성실히 응하겠습니다. 진행 중인 수사와 관련해 검증을 거치지 않은 무리한 보도를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침묵을 깬 삼성전자의 첫 마디는 ‘호소’였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사건에 대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어서 답변하기 어렵다”고 일관해 왔다. 그러는 동안 일부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는 확대재생산 됐고, 삼성바이오의 ‘분식 회계’는 사실이라는 전제 하에 갖가지 의혹들이 난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워낙 꾸준히 진행돼온 일이어서 ‘삼성 죽이기’라는 말을 반복하기가 무안하다. 언론과 검찰의 ‘삼성 죽이기’가 더 이상 신박한 뉴스가 아닐 만큼 일상화 됐다는 의미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공장 바닥’, ‘서버 은닉’, ‘이재용 육성 통화 복원’ 같은 자극적인 보도가 더해지면서 지난 2016년 대한민국을 뒤흔든 국정농단 사태가 연상된다는 것 정도.

당시에도 언론들은 여러 가지 단독‧특종 기사를 쏟아냈지만 재판 과정을 통해 대다수의 의혹이 사실이 아니었음이 밝혀졌다. 검찰의 수사도 ‘헛발질’이기는 마찬가지였다. 당시 이 사건을 수사했던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증거가 차고 넘친다”며 ‘세기의 재판’이 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결과는 ‘맹탕’이었다.

이번에도 분식 회계를 시작으로 온갖 부정적인 단어들이 삼성전자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수식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바이오와 바이오젠,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관계를 이해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참여연대와 금융 당국이 주장하는 ‘분식 회계’가 사실이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다. 오히려 삼성바이오에 대한 회계 판단을 번복한 금융 당국이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 인천 송도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전경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실제로 삼성바이오가 코스피 상장을 위해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한 회계 처리를 자회사에서 지분법 관계사로 변경한 것은 문제가 없다. 삼정‧삼일‧안진 등의 대형 회계법인도 이에 대해 “적정”판단을 내렸고, 금감원 역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증권 신고서를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렇게 해서 2016년 11월 삼성바이오가 코스피에 상장될 수 있었던 거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뒤 삼성바이오 회계에 대한 금감원의 판단이 번복된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기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정부가 집권을 하면서 멀쩡했던 회계가 분식회계로 규정된 거다. 특정 기업을 죽이기 위해 이토록 후진적인 방법이 동원됐다는 것이 믿기지 않지만,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정치적 의도가 다분하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정치적 욕심이 과해지면, 삼성바이오에 대한 수사 역시 국정농단 사태를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 여론을 통해 삼성을 범죄 집단으로 몰고 간 뒤, 그들이 표적으로 삼는 ‘윗선’을 가까스로 구속하지만, 재판 과정에서 제대로 된 증거가 나오지 않아 결국 이도 저도 아닌 게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삼성이 왜 이런 시간 낭비에 연루돼야 하냐는 것이다. 

물론 잘못이 있다면 처벌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 또 그에 대한 비판 역시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는다. 하지만 아직은 아무 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추측성 보도가 다수 게재되면서, 아직 진실규명의 초기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유죄라는 단정이 확산되고 있다”는 삼성전자의 호소가 무겁게 다가오는 이유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