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장윤진 기자]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8일 자유한국당을 향해 "김영삼의 후예인가 전두환의 후예인가. 한국당이 문민정부를 계승한다면 5·18 관련법 처리에 동참하라”고 밝혔다.

   
▲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2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군부독재와 문민정부 등 자신의 뿌리를 분명하게 선택하라”며 이처럼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3년 특별담화를 통해 문민정부가 5·18 연장선상에 있다고 선언하고, 1995년에는 5·18특별법을 제정해 전두환·노태우씨를 법정에 세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나 (문민정부의) 계승자를 자처하는 한국당은 5·18 망언 3인방 징계를 유야무야 시켰고 국회 윤리위원회 징계도 무력화했다"며 "역사왜곡처벌법 처리를 막고 진상조사위원회 출범도 지연시켰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회정상화엔 요지부동이면서 입법 서두르고 예산챙긴다는 이야기는 전형적인 겉과 속이 다른 이야기"라며 "민생 챙기겠다는 말이 거짓말이 아니라면 당장 국회로 한국당은 돌아오라"고 한국당의 국회 복귀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조정식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최근 논란이 되었던 '국가채무비율'과 관련해 "적정 국가채무비율이 40%라는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조 정책위의장은 또 "(한국당이) 국가채무비율이 40%를 넘으면 나라가 당장이라도 망할 것처럼 호들갑을 떤다"며 "(한국당이) 소위 '재정건전화'를 핑계로 정부의 손발을 묶기위해 국가채무비율을 40% 이내로 무리하게 제한하려는 입법까지 추진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당의 이같은 주장은 혹세무민이자 국가재정의 역할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우리 경제의 확장재정 운영 여력은 한국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8.2%로 주요국가 대비해 가장 건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