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건설·진흥기업 등 수주 일반분양 전환시 수익성 확보
"주변 주거시설과 비슷한 임대료… 수요 있을지는 미지수"
   
▲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 조감도./사진=호반건설

[미디어펜=손희연 기자]국내 중견건설사들이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시공을 맡으면서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이는 '역세권 청년주택' 을 통해 일감을 확보, 서울 지역 내 브랜드 인지도까지 높이는 시너지 효과를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호반건설은 서울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 불광역 청년주택사업 시공권과 지난 2017년 삼각지역 역세권 청년주택 수주에 이은 세 번째 역세권 청년주택 수주다. 

이어 진흥기업은 천호스테이션 하우징과 581억9700만원 규모의 '강동 성내 2030 역세권 청년주택 신축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대보건설은 지난 2017년 2030 청년주택 사업 1호로 착공되는 시범사업인 청년주택 사업 시공을 맡았다. 해당 사업지는 지하철 2, 5호선 충정로역과 가까운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3가에 위치한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서울시가 대중교통중심 역세권의 민간토지에 대해 용도지역 상향,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등을 지원하는 대신 민간사업자가 주거면적 100%를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으로 지어 청년층에 우선 공급하는 사업이다. 
 
중견건설사들이 서울 청년주택 사업에 참여하는 이유에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주택 사업 수주 물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먹거리 확보 차원으로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서울 지역 내 자사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향후 수주 포트폴리오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  

업계 내에서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경우 민간임대 물량이 8년 후 일반 분양으로 전환되면서 임대료가 주변 시세와 비슷하거나 높아질 가능성이 커 시공사 입장에서는 수익성도 어느 정도 보장된다는 관측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8년 뒤 민간임대 물량이 분양으로 전환되면 임대료가 주변 시세와 비슷하거나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역세권 입지에다가 신축으로 지어지는 건물이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원룸보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몸값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역세권 청년주택 민간 임대 물량 임대료가 주변 오피스텔 및 주변과 비슷할 경우 역세권 청년주택으로 들어가 살 이유가 없다는 시각도 공존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분양으로 전환되면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원룸과 오피스텔의 임대료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이는데, 이럴 경우 수요자 입장에서는 굳이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를 받아야 하는 필요성이 없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료과 관련해 논란도 일었다. 지난해 국회 국토교통위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와 민간사업자가 협약을 체결한 용산구 한강로2가, 마포구 서교동 등 17개 지구에 공급되는 전체 세대는 7592가구로 이 중 4696가구를 차지하는 일반형 민간임대 세대 가운데 보증금을 30%로 적용했을 경우 월 임대료가 50만원이 넘는 가구가 1555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체 세대수의 20.5%, 일반형 민간임대 세대수의 33.1%에 이르는 수치다.

서울시는 해명 자료를 통해 이와 관련해  "최초 임대료가 확정된 사업장에 대해서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하면 82.5%가 월임대료 30~40만원대 이하로 임대료 50만원 이상인 곳이 1/3에 달한다는 것은 사실과는 다르다"며  "30~40만원대의 임대주택도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지원을 받으면 20~30만원대의 부담 가능한 임대료 수준으로 입주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7년 한국감정원과 역세권 청년주택의 합리적인 임대료 산정을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미디어펜=손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