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아르헨, 비트코인이 화폐보다 안전...북한.이란 미 제재 회피용
   
▲ 비트코인 로고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1000만원을 넘나드는 등, '저점 대비 2배 수준'을 보이면서 '부활'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 배경에는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등 '취약 신흥국들의 경제위기'가 자리잡고 있다.

극도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이들 나라의 '화폐는 휴지조각'이나 다름 없다. 베네수엘라 볼리바르나 아르헨 페소화보다 되레 '비트코인이 안전한 자산'인 것.

한국도 비트코인 거래량이 최근 많은 나라인데, 미중 무역마찰에 따른 중국 '위안화 추가 절하 우려'와 '리디노미네이션(화폐 액면가치 절상) 루머'가 원인으로 평가된다.

미국도 비트코인 부활에 큰 몫을 했다.

우선 '기관자금 유입 기대감'이 주효했다. 내달부터 뉴욕증권거래소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의 실물 인수 방식 선물거래 테스트를 시작하기 때문.

이는 기관 자금 유입의 걸림돌이던 실물자산 보관의 안정성(투명성)과 투자자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다. 또 서비스가 정식으로 시작되면, 미 증권거래위원회의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런데 미국은 또 다른 측면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사용확대에 기여한다.

바로 미국의 제재로 국제사회에서 금융거래가 봉쇄된 '북한과 이란이 미 달러 대신 비트코인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바로 '제재 회피용'이다.

이런 점은 '통제가 불가능한 암호화폐'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그 위험성도 반증하는 것이다.

4일 비트코인 시세가 급락한 것도 이른바 '고래(비트코인을 많이 보유한 세력)의 시세조종'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인들에게 비트코인은 여전히 '북한과의 전쟁이 없는 한, 초고위험 자산'임을 명심해야 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