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 자체는 농업용수 확보걱정 없으나, 문제는 개별 농가의 자체 취수 어려움
   
▲ '4대강 보 해체'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입장차가 현저하다.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어제 공주보 개방 여부에 대한 공청회가 '찬반 주민들의 갈등 속에 파행'으로 끝났다는 소식이다.

우리에게 참 4대강 보개방 문제는 '계륵(鷄肋) 같은 존재'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어렵다.

정부는 '보개방, 장기적으로 철거'가 기본 입장이다. 농민들의 농업용수 확보에는 그렇게 해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환경단체와 철거를 찬성하는 주민들도 '자연환경 복원'을 위해서는 그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 주변 농민들은 '농업용수 확보가 어렵다며 결사반대'한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있는 보의 경우, 개방하면 바닷물이 '역류'해 사실상 '농경지에 소금물을 들이붓는 격'이라는 주장이다.

여권 내에서도 해당 지역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역구 의원들의 생각은 정부와 딴판인 것 같다.

답답한 마음에, 마침 세종시를 찾은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에게 물어봤다.

농어촌공사는 4대강 보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전국의 저수지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는 관련성'이 크다. 보 개방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저수지 물로 부족해진 농업용수를 보충'해야 하기 때문.

이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강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문제는 농민들이 '개인적으로 지하수를 끌어올려 사용하는 것'이다"

그의 설명인 즉 이렇다.

농민들은 비닐하우스 등에 '개인적으로 지하수를 퍼올려 쓰는' 경우가 많은데, 4대강 공사로 강바닥을 준설했기 때문에 '지하수 수위가 전체적으로 낮아져'서, 보를 개방할 경우 지하수 취수가 더 어려워진다는 얘기다. 그만큼 '더 깊이 파야한다'는 것.

그는 "애초에 4대강 공사를 한 것부터가 문제였다"면서도 "그렇다고 지금에 와서 보를 철거하려면, 그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보를 건설하는 것도 돈, 철거하는데도 돈'이 적지 않게 든다는 것. '모두 국민의 혈세'다.

또 환경단체들은 '보를 개방하니 수질이 좋아졌다'지만, 보 아래쪽 강의 수위가 높아져 그동안 '강변에 지저분해 보였던 부분들이 가려져 안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말 이 문제는 '솔로몬의 지혜'와 우유부단한 '햄릿의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것 같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낙동강 하구의 보 개방에 따른 '소금물 우려는 실제 피해는 그리 크지 않을 것' 같다는 점이다.

남해안은 서해안과 달리 조수간만의 차도 적고 만조와 간조 시간도 많이 다르기 때문에, '바닷물의 역류'도 대규모로 일어날 가능성은 적지 않을까, 희망해 본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