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이유 '직업'…정착지원금·마을단위 융화 교육 제공
   
▲ 신세계백화점 '청년농부 프레쉬 마켓' 전경 [사진=신세계백화점]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소폭 줄었지만, 젊은 층 유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33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2017년의 51만 6817명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40세 미만이 23.7%로 가장 많아 젊은 층이 귀농·귀촌을 주도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50대는 17.2%, 60대 이상은 17.2%로 집계됐다.

40세 미만 젊은 층의 귀농이 전년보다 2.3% 증가해,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인 1356가구가 귀농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지난해 새로 도입한 '청년 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등, 청년농 육성 정책이 성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작년 이 사업 선발자 가운데 귀농인 비중이 71%나 됐다.

귀농·귀촌을 택하는 주된 이유로는 '직업'이 33.3%로 가장 많이 꼽혔고, '주거' 28.4%, '가족생활' 24.4% 순이었다.

직업으로 농업을 택한 귀농인 가운데 농업에만 전업하는 경우는 70.8%였으며, 농업 외 다른 직업 활동을 함께 하는 겸업 귀농인은 29.2였는데, 연령층이 젊을수록 겸업 비율이 높았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34만 304가구로, 이 가운데 귀농 가구는 1만 1961가구였고,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2017년 69.3%에서 작년 71.8%로 높아졌다.

농식품부는 "1인 가구 증가는 미혼 비율이 높은 젊은 귀농이 확대됐기 때문"이라며 "가구주가 기반 마련을 위해 먼저 이주 후, 가족 구성원과 합류하는 경우도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이처럼 젊은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지원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귀농 수요에 맞춰 귀농 창업자금을 당초 3000억원에서 4572억원으로 늘리는 대신 부정수급과 사기 등을 막기 위해 사업 대상자 선정 심사를 강화하고, 부정수급 시 환수·형사처벌 근거를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부터 농촌에 거주하는 비(非) 농업인이 영농 창업을 하는 경우도 자금 수혜 대상에 포함, 관련 지원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 귀촌인에 농산물 가공·유통·홍보·마케팅·체험 서비스 등 농산업 분야 창업 중심 실무교육도 도입됐고, 지역 주민과의 갈등 완화를 위한 '마을 단위 찾아가는 융화교육'도 시작됐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층 귀농 지원을 위해 지난해 도입된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사업을 통해 자금·농지·기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며, 선발자에게는 정착지원금을 월 최대 100만원까지 3년간 주고, 농지임대 우선 지원과 영농 기술 교육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실습 중심의 '청년귀농 장기교육'도 지난해 50명에서 올해 100명으로 대상자를 2배 늘린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유형,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등을 조사하는 '귀농귀촌실태조사'를 정책보완 방안 마련에 활용한다.

농식품부는 매년 많은 수의 도시민이 농업·농촌으로 유입돼, 농촌 인구 증가와 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귀농·귀촌인이 농촌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뿌리내리도록, 소득 활동 지원 등의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