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회 수출' 빌미, 미 제재 확대시, 베트남 진출 우리 기업에 부정적
   
▲ 미국 상무부가 한국산 원소재를 사용한 베트남산 냉연제품에 관세 24.22%를 부과하기로 예비 판정했으나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사진=미디어펜DB]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중 무역분쟁의 '최대 수혜국'으로 베트남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작 이 나라를 통한 '우회수출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중국보다 한국과 대만이 '타깃'이 돼 유탄을 맞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이후 대미 수출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나라는 베트남이다.

베트남의 대미 수출증가율은 미국이 대중 관세를 부과한 지난해 7월 3% 수준에서 올해 5월에는 26% 안팎으로 급등, 7% 내외인 총수출증가율을 크게 웃돌고 있다.

특히 철강제품, 절연케이블, 통신.영상기기, 컴퓨터.전자기기 등 다수의 품목에서 베트남의 대미 수출과 대중 수입이 동시에 급증, 이를 '중국산 제품의 우회수출' 아니냐는 미 경제계의 의심을 받고 있다.

절연케이블의 경우 지난 1~5월 사이 대미 수출증가율이 172.5%로 전년동기대비 167.1%포인트나 치솟았고, 대중 수입증가율도 44.9%에 달해, 16.3%포인트 뛰었다.

중국과 홍콩의 '대베트남 직접투자(FDI) 증가' 추세도 뚜렷하다.

금년 상반기 중국.홍콩의 대베트남 FDI 투자금액은 각각 16억 8000만 달러, 9억 2000만 달러로 직전 3년 상반기 중 평균 투자규모인 중국 5억 6000만 달러, 홍콩 4억 7000만 달러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베트남의 대미 수출 및 대중 수입이 동시에 증가한 품목을 중심으로, 중국산 부품과 제품이 미국에 우회수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베트남에 있는 다수 공장들은 자체 생산을 하는 곳이 아니라 '중국산 제품을 저장하는 창고'이며, 이런 창고들이 항만기반시설을 형성할 정도로 '환적 관행'이 만연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작 미국 정부의 표적이 된 것은 '한국과 대만산 철강제품'이다.

지난 2일 미 상무부는 베트남을 경유,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대만산 철강에 대해 최고 456%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비 판정'했다.

한국.대만에서 최초로 생산돼 베트남을 거치는 철강 수입에 대해 현금보증금을 징수하고, 특히 원료 원산지 및 철강 종류에 따라 456.23%까지 관세를 물리는 게 가능하다는 것.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베트남 철강 관세 부과가 우리나라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향후 미국이 우회수출을 근거로 '제재 품목을 확대'하는 경우,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황원정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베트남에서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포스코의 경우, 베트남산 소재를 사용하고 있어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향후 미국이 무역제재 대상 품목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베트남 진출 기업은 '원산지 규정 준수' 등 대응책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대베트남 최대투자국이고 주요 투자분야도 '제재 가능성이 높은 품목'임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