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3년간 순자산 규모가 급성장한 사모펀드 업계가 최근 불거진 파생결합상품(DLS·DLF) 대규모 손실 논란과 헤지펀드 1위 운용사 라임자산운용 관련 의혹,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펀드 투자와 관련된 이슈 등으로 긴장하고 있다. 사모펀드 시장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아질 경우 국회에서 계류된 ‘활성화 법안’ 등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사모펀드 시장 내에서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3년간 급성장한 시장 규모가 급성장해 왔지만 최근 불거진 여러 논란들로 인해 시장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사진=연합뉴스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보면 이달 현재 전체 사모펀드 순자산은 391조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공모펀드 순자산액인 250조원을 크게 상회하는 것은 물론 지난 2015년 말 200조원 수준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급성장했다.

이와 같은 성장세에는 법률적 환경이 큰 도움으로 작용했다. 지난 2015년 사모펀드 시장 활성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자본시장법(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도입되면서 신규 업체들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시장 규모가 커진 것이다.

다양한 업체들이 시장에 들어오면서 문제점도 생긴 것은 사실이다. 이를테면 헤지펀드 1위 운용사인 라임자산운용의 경우 파킹 거래, 부실 자산 매각, 수익률 돌려 막기, 도미노 손실, 좀비기업 투자 등 각종 의혹이 불거지면서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받고 있다.

최근 대규모 원금손실 사태를 야기한 주요 해외금리 연계형 DLF·DLS 문제도 악재 중 하나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등 제1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논란이긴 하지만 자산운용사들의 경우 DLF를 운용한 회사들도 많이 있다. 당국은 펀드 설정 과정에서 판매사인 은행과 자산운용사들이 어떻게 역할을 분배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필 예정이다.

결정적으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모펀드 탈세 의혹은 사모펀드 업계 전체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들고 있다. 조 후보자와 부인 정모씨가 두 자녀와 함께 10억 5000만원을 출자한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의 ‘블루코어밸류업1호’ 사모펀드는 최근 이면계약, 가족 일가의 운영 개입 등 여러 논란을 낳고 있다.

업계는 이번 논란이 국회에 상정된 사모펀드 활성화 법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 통과 가능성을 희박하게 만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작년 11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사모펀드 활성화 법안’이 계류된 상태다. 경영참여형(PEF)과 전문투자형(헤지펀드)으로 구분돼 있던 국내 사모펀드 운용규제를 하나로 합쳐 전체적인 규제 수준을 낮추자는 취지로 나온 법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조국 논란이 있기 전까지만 해도 여야 의견 차이가 크지 않아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보였지만 상황이 달라졌다”면서 “사모펀드 업계에 대한 이미지 전체가 나빠진 상황이라 법안 통과를 호소하기조차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