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8월 들어서만 세 차례나 3%대의 폭락세를 보인 코스닥 지수가 장기침체구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자본시장 ‘큰손’인 연기금들이 코스닥 비중을 줄이고 개인투자자들이 활용하는 신용융자잔고도 급감하는 등 여러 군데서 심상치 않은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8월 들어 코스닥 지수의 흐름이 매우 불안정해졌다. 우선 1% 이상 급락한 날만 따져도 17거래일 중 5일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된다. 이 중에서 3일은 3% 이상 폭락한 날이었다. 

   
▲ 사진=연합뉴스


연기금들도 최근 코스닥 투자 비중을 줄이고 있다. 지난 2018년 코스닥 활성화 정책이 나온 이후 내부 투자 규정을 고쳐서까지 적극적으로 코스닥 투자에 나섰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연기금의 코스닥 순매수는 지난 6월 1921억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7월 516억원, 8월엔 26일까지 250억원으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 하나의 지표는 개인투자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신용융자잔고다. 지난 23일 기준 코스닥 신용융자잔고는 4조 4450억원으로 2년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지난 2018년 1월 한때 6조 5000억원에 육박했던 신용융자잔고의 감소세는 코스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개인 자금이 그만큼 희박해졌음을 방증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해외 증시에는 돈이 몰리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외화증권예탁결제 매수 총액은 139억달러(약 17조원) 수준에 달했다. 지난 2017년 연간 총액인 120억달러는 이미 돌파했고, 작년 총액 170억 달러 역시 넘어설 것이 확실시 된다. 최근 국내 증권사들이 해외 주식투자 관련 마케팅에 아주 적극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코스닥 활성화 대책’을 내세우며 정책적으로 자금을 유치하려 애썼다. 그럼에도 자금 흐름은 의도와 전혀 반대로 돌고 있어 혁신‧벤처기업 자금 공급을 늘린다는 정부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결국 코스닥 시장에 대한 투자 매력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정책 대안이 준비돼야 한다는 주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 상황에선 갈수록 매력을 잃어가는 코스닥 시장의 자금 이탈을 막을 방법이 없어 보인다”면서 “국내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거래세 면제, 배당소득세 대폭 감면 등 피부로 느껴지는 수준의 제도 개선을 정부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