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보고서, 대북제재 완화 전제로 북과 협력해 준비 필요
   
▲ 서해경제공동특구 구상도 [사진=경기연구원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9·19 남북 평양공동선언에서 언급된 '서해경제 공동특구'를 생산과 소비, 교육과 레저가 연계된 복합도시로 육성, 평화협력시대 한반도 메가리전의 중추 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정훈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달 2일 발표한 '한반도 경제권의 중핵 서해경제 공동특구 구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는데, 메가리전은 도시지역과 배후지역을 포함한 대도시권 연합체다.

보고서는 서해 남북한 접경지역은 고려와 조선의 수도인 개경과 한양의 방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세계와 교류하는 관문 등으로 한반도의 중추 지대로 역할을 해왔다며, 풍부한 자연·생태를 바탕으로 산업과 인구 성장 잠재력이 높은 한반도의 중심권역이자, 한반도 경제권의 중추 거점으로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남북 평화협력 시대 한반도 경제권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이 필요하다며, 서해경제 공동특구는 개성공단이나 통일경제특구 등 기존 남북협력의 틀보다 진화한 남북경제협력 모델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한반도 경제권의 중핵으로서 한반도 메가리전 육성의 비전을 담아야 하고, 임가공 중심 개성공단 모델을 넘어 첨단기술이 결합한 산업을 육성해야 하며, 남북한 산업생태계와 긴밀하게 결합해 주민 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포∼개풍(관광·레저 중심) ▲파주∼개성(제조업, 서비스업, 교육 및 스마트시티 중심) ▲강화∼강령∼해주(관광, 수산업 중심) 등 3대 축 중심의 육성방안을 제시했다.

개성공단 확장 예정 부지 66만㎢(2000만평) 정도로 조성해 생산과 소비, 교육, 레저가 연계된 남북 국경의 복합도시로 육성하자고 제언했다.

이 위원은 "대북 제재 완화를 가정해 남북한 공동으로 가칭 한반도 경제권 연구위원회를 운영해 서해경제 공동특구 기본구상 수립, 제도 설계, 인력 교육 등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협력해 나가고, 특구 조성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