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화 자동화와 달라…제고시 일일생산량↑"
   
▲ LS산전 청주 스마트공장 [사진=LS산전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기업이 생산과 물류, 재고관리 등 모든 분야의 '전사적 스마트화'를 꾀하더라도, 고용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생산품목 엑셀 작업 정도만의 하위 10% 스마트화 수준을 중간치로 끌어올리면, 일일 생산량이 9.1%포인트 개선된다는 분석이다.

김민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지식경제연구부 연구위원은 20일 '공장의 스마트화를 위한 스마트한 정책방안' 보고서에서, 스마트화는 자동화와 달리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제조업 공장이 있는 기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자동화 수준을 향상할 계획인 기업은 생산직, 공정관리 기술직, 사무직 등 모든 직종에서 고용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전사적 스마트화를 계획 중인 기업은 생산직, 공정관리 기술직, 사무직 모두 유의미한 감소 전망이 나오지 않았다.

생산공정의 스마트화만 할 경우 생산직과 사무직에서는 고용 수요 감소가 예측되지만, 공정관리 기술직 수요는 감소하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 지난 2015년과 2017년 스마트화가 진행되면서, 유의미한수준의 고용 감소 현상은 빚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호 연구위원은 "2015년과 2017년 공장의 스마트화와 고용을 비교해 봤을 때도, 스마트화가 고용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장의 스마트화는 일일생산량 개선 효과도 내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라인공정에서는 불량률을 낮추고 배치 공정에서는 생산품목 수와 거래처 수를 늘리는 등, 공정별 특성에 맞춰 긍정적인 효과를 냈다.

공장의 스마트화를 결정짓는 요인은 술도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경영자의 공정혁신에 대한 관심과 인사관리가 맞물려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사관리 수준이 낮은 하위 20% 공장 그룹에서는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스마트화 수준 개선의 효과가 없었다.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 지원도 스마트화를 추구해야 하며, 민·관·학 협의체를 통해 스마트 공장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 연구위원은 "지금과 같은 스마트 공장 부처별 독립 추진 방식은 초연결·초융합적 특성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우며, 민·관·학 협의체가 실질적인 권한을 갖고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