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자금 완납·고용 승계·이익 창출 등 과제
"경영정상화까지 최소 1년 반 예상"
   
▲ 법정관리 이후 사실상 휴동상태에 들어선 성동조선해양의 모습.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권가림 기자] 중견조선업체인 성동조선해양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지 2년여만에 인수 후보자를 찾으면서 연내 매각이 가시화하고 있다.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HSG중공업이 1년 매출을 크게 웃도는 3000억원의 인수 자금을 납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선박 제작이 제한된 상황 속에서 경영 정상화 작업도 만만치 않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HSG중공업-큐리어스파트너스 컨소시엄의 성동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본계약은 상세 실사를 거쳐 이달 말에서 내달 초 이뤄질 전망이다. 내달 31일까지 본계약에 실패할 경우 성동조선은 청산절차에 들어간다. 

앞서 HSG중공업-큐리어스파트너스 컨소시엄은 성동조선 1·2야드(약 100만㎡)를 인수하겠다는 조건을 내세우며 지난 18일 성동조선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매각이 마무리되기 위해선 3000억원의 인수 대금 납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HSG중공업의 지난해 매출은 358억원으로 1년 매출을 크게 넘는 3000억원의 인수 자금을 제대로 조달해 완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HSG중공업은 큐리어스의 자금 동원력으로 매각 가격의 10%인 300억원에 대한 자금 증빙을 완료했다. 

앞으로 HSG중공업은 법원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인수금액의 5%를 납입해야 한다. 이후 실사를 거쳐 본계약을 체결하면 5%를 더 지급한 뒤 한 달 이내 나머지 잔금 90%를 완납해야 인수합병이 완료된다. 계약 도중 계약금이나 잔금 완납을 하지 못하면 법원은 회생절차를 폐지하고 파산에 돌입한다.

인수 이후 과제도 적지 않다. 

중소 조선사들은 여전히 일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국내 중형조선사의 올해 3분기 누적 수주량은 17척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척 줄었다. 2016년과 비교하면 80% 이상 급감했다. 2007년 한 때 17.7%를 기록했던 한국의 세계 중형선박 시장 점유율은 올해 3분기 3.4%로 쪼그라들었다. 

중형 선박 발주 감소와 선가 하락에 이어 성동조선에 법정관리 딱지까지 붙으면서 국책은행들이 선박 발주를 받기 위해 필요한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을 꺼려할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여기에 HSG중공업은 새 선박을 건조한 경험이 없는 기자재 업체여서 당분간 전통적 사업인 대형 선박 건조 대신 블록 생산에서 경영 정상화를 위한 이익 창출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됐다.  

장기간의 무급휴직과 고용승계 등 현재 성동조선이 안고 있는 고용문제도 남아있다. HSG중공업은 성동조선 자산이 아닌 회사 전체를 인수하는 만큼 직원들 고용 승계 의무가 있다.

성동조선은 한 때 정규직원 2500여명가량이 근무했지만 현재는 670여명 정도 남아 있다. 야드·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필수인원을 제외한 550여명은 무급휴직 중이다. HSG중공업의 정규직은 180여명에 그친다. 

성동조선 노조 관계자는 "회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까지는 최소 1년 반이 걸릴 것"이라며 "인수자가 물량 확보 등 회사 정상화 의지를 보이고 재판부가 인수자에 고용승계를 최우선 과제로 요구한 만큼 직원들이 하루 빨리 현장에 복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권가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