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입사 당시 월급 높을수록, 기업체 클수록, 정규직이면 출산확률 상승
   
▲ 여성구직자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3분기 합계출산율이 0.88명으로 사상 최저치를 경신한 가운데,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직장'이 확충된다면 저출산 현상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청년층 취업과 저출산의 관계 - 첫 직장 특성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첫 직장 입직연령과 첫 아이 출산결정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첫 직장 입직 당시의 월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체 규모가 클수록,  상용직 또는 정규직으로 입직한 경우, 첫 아이 출산확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직장 입직연령이 1세 낮아지면 첫 아이 출산확률은 1.9%포인트 높아지고, 출산연령은 평균적으로 0.3세(약 3.6개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첫 직장 입직 당시 월 급여수준이 100만원 오르는 경우, 첫 아이 출산확률도 2.7% 치솟았다.

아울러 첫 직장 기업체 규모가 300인 이상일 때, 첫 직장에 상용직 또는 정규직으로 입직할 경우, 첫 아이출산확률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각각 2.9%포인트, 2.1%포인트, 1.8%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의 첫 취업 소요기간은 10.8개월이었고, 1년 이하 단기계약직으로 첫 일자리를 시작하는 청년의 비율은 24.7%를 기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연간 기준으로 통계작성 이래 최저치였으며, 첫째아 평균 출산연령은 32.8세였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좋은 직장이 확충될 경우, 그런 직장이 장기적으로 청년층의 직장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통화 임신.출산 관련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윤수 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질 좋은 일자리 확충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다만, 한정된 재원으로 재정을 투입하는 다양한 정책이 동시에 시행된다는 점에서, 정책의 효과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자리 기반 확충을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연구개발 재정지원의 질적 수준 제고, '한계적 중소기업을 연명'시키는 방식의 청년고용장려금이 정부 지원을 믿고 취업한 청년들의 향후 경력에 손해를 미칠 가능성 등을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