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 3∼5m 길 양쪽에 길이 50m 성토다짐 토목공사
   
▲ 공주 공산성 추정 왕궁터 동쪽 대궐형 성토 대지 [사진=공주대학교박물관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백제 웅진시대(475∼538) 왕성으로 알려진 공주 공산성(사적 제12호)에서 백제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긴 출입시설이 나타났다.

공주시와 공주대학교박물관은 공산성 쌍수정(雙樹亭) 일대의 추정 왕궁터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시대에 국가가 진행한 대규모 토목공사의 흔적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쌍수정은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1735년에 건립한 정자로, 남쪽과 동쪽에 백제시대 추정 왕궁터가 있다.

찾아낸 출입시설은 쌍수정 주변에 동서 방향으로 조성했으며, 폭 3∼5m 길 양쪽에 높게 성토다짐을 한 구조로 파악됐으며, 흙다짐 전체 규모는 길이 50m·너비 36m·깊이 3.5m다.

성토다짐은 흙을 쌓고 다지는 과정을 반복해 탄탄하게 하는 기법으로, 흙을 경사지게 쌓고 다시 수평으로 쌓는 방법을 되풀이했다.

공산성 성토다짐의 또 다른 특징은 경사면에 성토 유실 방지를 위해 강돌과 깬돌을 깔았다는 점으로, 오늘날 연약한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는 건축부재인 필터매트를 적용한 셈이다.

이현숙 공주대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이 출입시설이 궁의 문인 '문궐'(門闕) 혹은 임금이 머무는 궁궐 문 양옆에 설치한 두 개의 높은 대(臺)인 '대궐'로 추정된다면서 "백제가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직후에 건설한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공산성 문궐은 한성 풍납토성 이후 최대 규모 백제 토목공사 유적"이라며 "문궐 같은 시설은 왕이 있을 때만 만든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공산성이 왕의 피난처라기보다는 거주 왕성일 가능성이 커졌다"고 주장했다.

조사단은 아울러 쌍수정 건물이 있는 대지가 백제시대에 조성한 시설물이라고 판단했는데, 백제가 지형을 의도적으로 깎은 뒤 지면보다 높은 단(壇)을 형성했다는 것. 

또 쌍수정 광장에서는 길이 30m가 넘는 기둥 열이 출입시설과 연결돼 드러났다.

이 실장은 "추가 조사를 통해 공산성 내 백제시대 왕성 연결 도로를 고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