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중단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본격적인 법적대응에 나선 가운데 이번에 피소된 금융사 명단에 신한금융투자가 포함돼 파장이 예상된다. 신한금투는 작년에 자기자본 확충으로 초대형 투자은행(IB) 지정요건을 충족했지만 이번 수사로 인해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작년 사모펀드 환매 중단으로 피해를 본 라임자산운용 펀드 투자자들이 법적 대응에 돌입했다. 이들은 지난 10일 라임은 물론 신한금융투자와 우리은행 등의 금융사들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소했다.

   
▲ 사진=신한금융투자


지난 2018년 11월 무역금융 펀드(플루토 TF-1호)에 환매중단 사유가 발생했는데도 이런 사실이 공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시리즈 펀드가 신규 설계·판매된 점, 무역금융 펀드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것처럼 속여 판매해 만기가 돌아오는 펀드의 상환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추측된다는 점 등이 고소 사유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에 피고소된 회사에는 라임자산운용 뿐 아니라 증권사인 신한금융투자도 포함됐다. 라임자산운용과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고 신한금융투자 명의로 무역금융 펀드에 투자해왔다는 점에서 라임자산운용과 공모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투자자들의 주장이다. 비슷한 사유로 우리은행 관계자도 고소 대상에 포함됐다. 

신한금융투자는 라임자산운용에 약 3600억원을 대출해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무역금융펀드 설정 당시부터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업무를 맡아 라임자산운용과 협의한 사실도 있다. 라임자산운용은 지난 2017년 11월부터 개인 고객 투자금 2436억원과 신한금융투자에서 받은 대출금 3600억원을 합쳐 약 6000억원 규모의 무역금융펀드를 조성해 운용했으나 이 펀드의 40%를 투자한 미국 헤지펀드에 문제가 터졌다. 

헤지펀드 현지 운용사인 IIG가 작년 말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음에도 신규 투자자에게 이를 속여 판 혐의로 자산이 동결됐기 때문이다. 무역금융펀드는 구조상 개인 투자자가 먼저 손실을 떠안도록 설계돼 있다. 즉, 이들이 투자한 2400억원의 원금이 그대로 손실처리 될 수 있는 상황이 돼 IIG 측이 라임에 이 사실을 통보했지만 라임자산운용은 이후 1년 동안 투자자를 계속 모집했다.

신한금투의 경우 PBS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증권사 창구를 통해 약 900억원 규모의 무역금융펀드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실 위험을 알면서도 펀드를 팔았다는 의혹이 생겨난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신한금융투자는 작년 66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며 회사의 사활을 건 성장플랜을 추진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자기자본 4조원이라는 요건을 충족시키며 국내 6호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 준비를 마친 것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 때문에 올해 인가를 받겠다는 포부에는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게 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래에셋대우 등 타사 사례를 보면 과거 제재이력, 향후 제재 가능성 등은 초대형IB 인가에 중요한 결격사유가 된다”고 지적하면서 “신한금투의 초대형IB 도약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