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록 출산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일수록 출산율이 낮다는 '베커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다. 

26일 한국재정학회가 발간하는 재정학연구에 실린 'OECD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보고서에 따르면 1990∼2016년 OECD 국가 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출산율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증가할수록 출산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합계출산율에 대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탄력성은 0.09∼0.13으로, 여성의 근로시간이나 육아휴직, 임금 격차 등의 변수를 적용해도 일관되게 플러스(+)로 나타났다. 특히 2000년 이후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상승에 따라 합계출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특히 평균임금이 높을 수록 출산율도 덩달아 높아졌다. 이는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로 가구소득이 늘어나며 이에 따른 출산율 제고 효과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단 실업률이 높고 여성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합계출산율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행동경제학자 게리 베커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시장임금이 상승하고 자녀 양육 기회비용도 증가해 자녀 수가 감소하는 대체 효과가 발생한다는 '베커 가설'을 정립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해당 가설이 2000년 이후 OECD 국가에선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각종 정책지원이 마련되고 남성이 생계부양자, 여성은 양육책임자라는 구분이 흐려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분석 결과를 국내에 적용해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일·가정 양립이 가능하도록 근로시간 유연화 등 노동시장 여건을 확충하는 것이 출산율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