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3년째 순유입, 서울은 30년째 순유출...12월은 인구이동률 상승
   
▲ 경기도의 한 아파트단지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고령화 등에 따른 장기적인 하락세와 9·13 대책 여파로 주택매매가 감소한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이 반세기 만에 가장 뜸해졌다.

수도권 인구 유입은 속도를 내는 모습인 반면, 서울 30년째 순유출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29일 내놓은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 3000명(2.6%) 감소한 710만 4000명이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13.8%로 0.4%포인트 하락, 지난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김 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 성향이 높은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이동 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인구이동률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 수가 16만 3000명 줄었는데, 지난해 주택매매량은 전년보다 6.0%(5만 1000건), 신규입주 예정 아파트 수는 11.6%(5만 3000건) 각각 감소했다.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시도 내 이동인구(471만 9000명)는 3.0%, 시도 간 이동인구(238만 5000명)는 1.8%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25.3%)이 가장 높았고, 이어 광주(15.0%), 서울(14.9%), 경기(14.9%) 등 순이었으며,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등 순이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 5000명), 세종(2만 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개였지만,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줄었다.

인구순유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 4000명), 부산(-2만 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 대비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았고, 순유출률은 대전(-1.1%), 대구(-1.0%), 울산(-0.9%)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10∼20대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이었는데,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전출자의 63.6% 역시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 3000명이 순유입됐는데,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 6000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한편 지난해 12월 총이동자 수는 64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4.6% 늘었으며, 인구이동률은 14.8%로 1년 전(14.2%)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