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룽지·쌀국수 등 식사용 조리식품 원료 쌀 소비는 증가
   
▲ 벼수확 장면 [사진=경기도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쌀 소비 감소 추세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의 쌀 소비량이 3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 통계 작성 후 최소를 기록했다.    

다만 누룽지, 쌀국수 등 식사용 조리식품 원료로 쓰이는 쌀 소비는 증가해 가정 내 쌀 소비 감소를 상쇄하는 만큼, 쌀 소비의 절대량에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9 양곡년도'(2018년 11월 1일∼작년 10월 31일)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9.2㎏으로 전년보다 3.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년 전인 지난 1989년 소비량(121.4㎏)의 절반 수준으로,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 이후 꾸준히 감소세다.

2019 양곡년도의 가구 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62.1g으로 역시 전년보다 3.1% 적은데,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임을 감안하면 하루에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

작년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 쌀 사용량은 74만 400055t으로, 전년보다 1.5% 줄었다.

제조업 쌀 소비량은 2014년 53만 4999t으로 전년 대비 증가(1.7%)로 전환한 뒤 2015년 7.6%, 2016년 14.5%, 2017년 7.4%, 2018년 6.8%로 증가하다가, 지난해 6년 만에 감소했다.

제조업 쌀 소비량은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이 5만 6007t으로, 1년 전보다 24.2% 증가했는데, 이 업종에서 쌀은 선식, 누룽지, 씨리얼식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

쌀국수 등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2만 126t·9.2%),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제조업(9280t·4.7%) 등도 작년에 쌀 소비량이 늘었지만, 떡류는 쌀 17만 6500t을 소비해 전년보다 2.4% 증가했다.

햇반, 삼각김밥, 도시락이나 가정 간편식에 주로 사용되는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은 14만 5187t으로 1년 전보다 소폭(-1.6%) 감소했는데, 백미만 사용되던 햇반, 도시락 등에 잡곡 사용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료품 제조업 중 가구 쌀 소비량과 관련성이 높은 기타 곡물가공품, 떡류,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도시락·식사용 조리식품 등 5개 업종을 별도로 묶어서 보면,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집에서의 밥상 용 쌀 소비량은 감소했더라도, 식사 대용·즉석 식품을 만드는 사업체의 쌀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에, 전체적인 쌀 소비량에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탁주 및 약주 제조업에는 지난해 4만 9547t의 쌀이 사용돼 1년 전보다 18.5% 급감했는데, 막걸리 소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이며, 주정 제조업은 19만 1407t으로 2.0% 늘었다.

한편, 지난해 쌀과 기타 양곡을 포함한 연간 가구 내 양곡 소비량은 67.4㎏으로 전년보다 3.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식품부는 쌀 소비량 감소율이 높아진 것은 식사 대체용 가공식품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사업체 소비량 감소는 쌀값 상승으로 장류와 탁주 등 일부 가공식품의 원료 대체가 발생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익 직불제 개편·정착을 통해 쌀 적정 생산을 유도하고, 쌀 소비 촉진 지원을 확대해 중장기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