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재‧수요 증가 따른 상승" vs "일시적 급등 무너지기 쉬워"
전문가 "전세가율·외지인 투자 비율 등 여러가지 살펴봐야"
   
▲ 경기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이다빈 기자]경기 수원‧용인‧성남시 일대의 집값에 대해 '거품'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으로 수원 전역이 규제 지역으로 포함됨과 함께 이를 '일시적 현상'으로 볼 것인지, '경기 동남부 부동산 열풍의 전초'라고 볼 것인지 의견이 갈리고 있다.

정부의 12·16 대책으로 서울 지역 부동산에 고강도 규제가 가해지자 서울 동남부 '수용성'의 아파트 가격이 치솟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KB부동산리브온에 따르면 수용성의 지난달 아파트값 변동률은 △수원 1.69% △용인 0.73% △성남 0.85%로 동 기간 전국(0.38%), 서울(0.38%), 경기(0.49%) 평균 아파트값 변동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원시 권선구.영통구.장안구의 집값은 이번달 각각 7.07%, 6.74%, 3.23%의 폭발적인 상승률을 보였다.

국토교토부는 지난 20일 부동산 추가 규제책을 발표하며 수원시 영통‧권선‧장안구와 안양시 만안구, 의왕시 등 수도권 5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했다. 현재 경기 수원시 팔달과 광교, 용인시 기흥과 수지, 성남시 분당은 이미 조정대상지역에 들어가 있다. 정부도 수용성 누르기에 박차를 가하며 수용성 집값 폭등을 '거품'이라고 봐야 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정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지나치게 높이 오르면 '거품이 꼈다'고 일컫는다. 한 지역에 부동산 투자 심리가 과열되며 형성됐던 가격 거품이 꺼지면 투자자들이 손해를 떠안게 된다. 그러기에 소위 말하는 '거품 낀 지역'의 부동산 투자는 경계의 대상이 된다.

A씨는 "서울 동남권에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이전해 개발이 빨라지고 교통호재도 이어져있다"며 "직주근접 신축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가 꾸준히 늘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거품이라기 보다는 수요에 비해 신축이 부족해 집값이 급등했다고 보는 게 옳다"고 설명했다.

수원시 영통구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수원도 지역에 따라 수요가 달라서 한데 묶어 '버블'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고 아파트 별로 입지를 따져보면서 상승세를 비교해 봐야한다"며 “집값이 쉽게 꺼지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시점의 수용성 집값 폭등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입지 경쟁력이 떨어지는 만큼 집값 상승폭이 낮았고, 서울 집값이 주춤하자 일시적으로 투자심리가 옮겨온 것이라는 주장이다. 경기도에 살고 있다고 밝힌 B씨는 "서울에 비해 낙후된 주거환경과 교육환경을 따져 봤을 때 이정도 상승 가치는 없다"며 "이런 거품은 조그만 충격에도 무너지기 쉬우니 주의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주택경기가 호황이던 2006년 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용인‧평촌의 집값이 단기간 급등해 집중 규제 등의 후폭풍을 맞았던 '버블세븐' 현상과 비슷해 보인다는 의견도 있었다. 버블세븐 지역 질주하던 집값은 일제히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타격으로 이어졌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특정 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거품'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정해진 바가 없다"며 "업계에서 흔히 따지게 되는 여러가지 가이드라인 등으로 다방면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 랩장은 "우선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이 있다. 매매가가 급등하는데 비해 전세가 오름세가 저조하면 시세차액에 대한 기대심리로 투자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며 "투자자들의 외지인 비율도 살펴볼 수 있다. 원정 투자 비율이 높은 것도 금방 빠지게 되는 '거품'의 특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