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위기극복 위한 무역·통상분야 10개 정책과제 건의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전경련은 코로나19로 인한 한국의 15대 주력 수출품목(2019년 수출비중의 78.5%)의 영향을 점검하고, 이번 위기 타개를 위한 무역·통상분야 10개 과제를 전경련 회원사와 관련 13개 업종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정부에 긴급 건의했다고 5일 밝혔다.

2월까지 중국 등 아시아에 국한됐던 코로나19 사태가 3월 들어 미국을 비롯한 이탈리아·독일·프랑스·스페인 등 전 유럽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 의견조사 결과 이들 지역의 수입수요 감소로 올해 15대 수출품목의 수출은 전년대비 7.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결과는 무역협회, 한국경제연구원 등이 각각 코로나19가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해 11월, 올해 2월에 예측한 것보다 10% 포인트 이상 감소한 것이다.

   
▲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사옥 입구 /사진=미디어펜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로 △일반기계(-22.5%), △디스플레이(-17.5%), △선박류(-17.5%), △자동차(-12.5%), △섬유(-12.5%) 업종의 수출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가전(-12.0%), △무선통신기기(-11.0%) 등도 수출부진이 예상됐다.

이에 비해 △반도체(0.6%), △컴퓨터(5.0%)는 비대면 접촉의 증가에 따른 IT 수요 증대로 다소간의 수출증대가 전망됐으며, 특히 △바이오헬스(25.8%)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의료‧건강 관련 수요증가로 전년 대비 수출 급증이 예상됐다.

한편 지난 해 12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한데 이어 올해도 코로나19로 15대 주력품목의 수출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전경련은 무역․통상 분야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기업 애로 및 현안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한국 기업인 입국 입국금지․제한 조치 신속 해제

지난달 12일 전경련 허창수 회장 명의로 18개 교역국 정부에 대한 한국 기업인에 대한 입국금지․제한 조치 철회 요청, 외교부의 베트남 등 신속대응팀 파견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인에 대한 입국금지·제한 조치가 공식 해제되지 않고 있다.

현재 개별기업이 전세기를 띄워 중국, 베트남 생산기지 가동을 위한 엔지니어를 파견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건강확인증 발급 등을 통해 입국을 허용하는 예외조치가 4월 중에는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세적 다자·양자 FTA 추진

한국은 2015년 12월 한중FTA 발효 후 FTA를 활용한 수출이 정체상태에 있다. 반면 경쟁국 일본은 CPTPP 출범 주도 등 공세적 FTA를 통해 2019년 기준 FTA 활용률(전체교역 중 FTA 체결국 비중) 한국을 추월했다. 그리고 중국, 아세안 FTA에 대한 한국기업의 수·출입 활용도는 50~70%대에 불과하다.

따라서 아·태 16개국이 참여해 협상을 마무리한 RCEP 서명절차의 상반기 마무리, 협상·검토 중 양자 FTA·경제협정(한중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필리핀·인도·러시아 등 신남방·북방 국가와의 FTA)의 패스트 트랙 진행을 통해 기업의 교역·투자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 /자료=전경련 제공

통화스와프계약 체결국․지역 확대

한국은 미국과 6개월,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해 급한 불을 껐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달러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기축통화국과 통화스왑을 체결하고 장기적으로 일본 수준으로 통화스왑을 확대해야 한다. 외환위기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미국, EU, 일본 등 기축통화국)과 무기한·무제한의 통화스왑을 체결해야 한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조치 동결선도

한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에 열린 워싱턴 G20 정상회의 시 각국 보호무역조치 동결 합의를 유도한 바 있으며, 이 조치는 2018년까지 진행됐다. 그러나 2017년 ‘아메리카 퍼스트’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선진국, 개도국 구분 없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비관세장벽은 확대일로에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G20, OECD, APEC 등 다자협력체 재무·통상장관회의 플랫폼을 활용해 한국 통상당국이 2018년 수준으로 보호무역조치가 1년 동결 또는 10% 자발 감축에 합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가 3월부터 한국의 최대 수출지역인 중국, 미국, 유로존의 금융·실물경제를 강타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진단·방역·대응 과정을 통해 높아진 한국의 국가위상을 레버리지로 삼아 정부는 무역·통상 분야에서도 기업애로와 현안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