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분야 유니콘 등장할 것"
[미디어펜=이원우 기자]정유신 서강대학교 교수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금융 분야가 혁신의 리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기술경영대학원장‧핀테크지원센터장)는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미디어펜 주최 2020 비전포럼 ‘디지털 전환과 한국금융의 미래’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미디어펜 주최 2020 비전포럼 ‘디지털 전환과 한국금융의 미래’에서 정유신 서강대 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이날 포럼의 기조강연을 맡은 정 교수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이전과 이후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될 것”이라고 한 헨리 키신저의 말을 인용하면서 최근의 사태가 미래의 금융 분야와 어떻게 연결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펼쳐 보였다.

정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은 모바일 혁명”이라고 전제하면서 “한국에서도 토스‧뱅크샐러드‧카카오페이 등의 혁신기업들이 데이터 3법 통과와 함께 혁신의 새로운 단계로 이행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유신 교수는 “코로나19 이후의 시대, 즉 ‘포스트 코로나’의 경제에서는 금융 쪽의 혁신이 매우 핵심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금융산업에 대한 우리의 일반적인 인식도 근본적인 지점에서부터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까지 우리는 금융 분야에 대해 내수산업, 후행적 산업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고 지적한 정 교수는 “오늘날의 금융은 모바일과 결합하면서 금융산업 자체가 화면에 표현 가능한 유형의(tangible) 성격으로 진화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 교수는 “발상의 전환이 기술발전과 결합한다면 금융산업 역시 수출산업이 될 수 있고, 산업 분야를 오히려 앞에서 이끌어 가는 ‘혁신 리딩산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현재 금융계 전반에서는 현재의 인터넷전문은행의 수준을 뛰어넘는 ‘모바일 금융회사’의 출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모바일 보험회사나 모바일 증권사가 직접 소비자들과 교류하며 사업을 펼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문제에 대해 정 교수는 “소비자들은 금융과 비금융 분야가 구분되는 걸 원하지 않는다”면서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가 원활하게 결합하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생산성과 고용 이슈에서 활로가 모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두 분야의 결합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또 정유신 교수는 “유럽에서 페스트가 휩쓸고 간 이후에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했다”고 지적하면서 “코로나19 이후 많은 유니콘들이 등장해 다시금 금융산업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정 교수는 “국가별로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자세가 다른 것에서 보듯 향후 금융과 산업정책에서도 국가별로 많은 차이가 부각될 것”이라면서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과 빅데이터 시대 ‘보이는 손의 계획경제’ 패러다임이 다시 한 번 승부를 펼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기조강연을 마무리 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