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케어,교육·사무,AI 주목…경쟁력 제고위한 지원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망산업으로 바이오·헬스케어,교육·사무, 인공지능(AI)이 지목됐다. 기술 선도국 대비 기술 열위에 있는 상황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규제개선과 기초기술 연구개발 등의 과감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벤처캐피탈리스트 36명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산업을 조사한 결과 바이오·헬스케어(원격진료 등) 분야가 가장 유망(31.9%)할 것으로 전망됐다.

   
▲ /사진=연합뉴스

이어 교육·사무(원격교육, 비대면 오피스 등) 19.4%, 인공지능 8.3% 등이 유망산업으로 꼽혔다. 이는 해당 산업의 성장성(33.3%)과 산업구조 재편 영향(29.2%)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예측한 것이다.

전경련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건강관리와 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실생활인 교육·사무 분야에서 온라인 개학이나 재택근무를 경험해보며 직접 체감한 기술력과 유망성이 설문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의 기술 수준은 비교 열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국 등 기술 선도국 수준을 100으로 가정하고 우리나라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교통·모빌리티(자율주행차, 승차공유) 59, △드론·로봇(무인이동체 및 서비스 기기) 61, △스마트팜과 인공지능 각 63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네트워크(차세대 통신망) 88, △교육·사무와 핀테크(비대면 금융)는 각 81로 상대적인 우위를 보였으나 여전히 선도국과는 격차가 있는 상황이다.

선도국 대비 미흡하다고 평가된 우리나라 신산업 분야의 문제점으로는 기초·원천기술 부족(34.7%), 정부규제와의 충돌(19.5%) 등이 꼽혔다. 이밖에 △국내 전문 인력 및 교육 인프라 부족(13.9%), △관련 기업의 낮은 경쟁력(12.5%), △글로벌 결쟁심화(8.3%), △기존 비즈니스 모델과의 갈등(8.3%) 등도 원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으로는 관련 산업규제 개선(31.9%)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지목됐다.

이어 △기초기술 연구개발 지원(23.6%), △전문 인력 양성 및 산·학·연 협력 확대(12.5%), △기업간 협업 지원(11.1%) 및 기존 산업 및 이해관계자 갈등 조정(11.1%), △신산업 관련 금융·조세 지원 확대(7.0%), △실증·시범사업 확대(2.8%) 순이었다.

   
▲ /자료=전경련

재계에서도 신산업 발국에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도움을 바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기존 주력 산업이 장기간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수출 기상도에는 먹구름이 더욱 짙어지는 상황이다.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5월 수출 전망은 65.0로 나타나았다. 이는 1980년 기업경기동향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치다. 수출부진이 심화되면서 2분기에 코로나발 충격이 본격화 될 것란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 위한 기회를 엿보고 있다. 성장동력 시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4차 산업혁명이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며 “선제적이고 폭넓은 규제개혁으로, 코로나19의 위기를 우리 산업의 체질혁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